여행업계, 與에 쓴 소리 “한일 민간교류 막지 말라”

입력 2019-08-07 16:49 수정 2019-08-07 17:02

더불어민주당의 ‘도쿄올림픽 보이콧’ 움직임에 여행업계가 제동을 걸었다.일본 경제보복 조치를 민간부문까지 문제 삼아 정쟁화한다는 지적이다. 연일 강경 발언을 쏟아내던 일본경제침략대책특별위원회는 “도쿄올림픽과는 별개로 방사능으로 인한 생명과 안전, 건강에 관련된 문제를 검토하는 것”이라며 자제하는 모습을 보였다.

이해찬 더불어민주당 대표와 최고위원들은 7일 관광업계 현장을 찾아 의견을 청취했다. 한국관광공사 서울센터에서 열린 ‘국내관광산업 활성화를 위한 현장최고위원회’에는 박양우 문화체육관광부 장관, 안영배 한국관광공사 사장, 윤영호 관광협회중앙회장, 오창희 한국여행업협회장이 참석했다.

이 대표는 모두발언에서 “관광산업은 일자리 창출 효과가 매우 높고, 직접적인 소비자 활동 영역으로 효과가 바로 나타나는 매우 중요한 분야”라며 “우리나라는 치안도 많이 좋은 편이고 외국인들이 관광하기에 좋은 여건을 많이 가지고 있다. 우리의 장점을 잘 살려서 외국인들이 올 수 있도록 하는 게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당 지도부를 향한 쓴소리도 나왔다. 오창희 회장은 “국민이 자발적으로 일본을 가지 말자고 하는 부분은 당연히 아무런 이의가 없다“면서도 “정치·외교 문제와는 별개로 서로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민간교류가 확실히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이어 “일부 지자체에서는 (일본 여행을) 금지하고 청소년 간 교류를 막고 있다. 이것이 한일 국민에게 미래지향적인 도움이 되겠느냐”고 지적했다. 오 회장은 “정치·외교 문제에 대해 민간교류까지 막는 것은 자제해달라”고 호소했다.

앞서 경기도 광명시는 지역 내 청소년들의 국제교류를 위한 일본 방문을 취소한 바 있다. 충남 보령시도 자매결연을 맺은 일본 일부 도시와의 문화·예술 교류를 잠정 중단키로 했다. 서울 중구는 일본 관광객이 많이 찾는 명동과 청계천 일대에 ‘노 재팬(NO JAPAN)' 깃발을 걸 예정이었다가 철회해 논란이 일기도 했다.

도쿄올림픽 보이콧을 비롯해 여행 금지 조치 필요성을 공식 석상에서 처음으로 주장한 최재성 경제침략특위원장도 이날은 발언 수위를 낮췄다. 최 위원장은 국회 브리핑 이후 기자들과 만나 “(방사능 문제는) 당 지도부에서도 굉장히 우려하고 있는 부분인 것은 분명하다”며 “안전과 평화 이 두 가지 문제는 올림픽 참가 여부하고는 무관하게 우리가 타당하게 제기할 수 있는 것”이라고 말했다. 오기형 특위 간사는 “도쿄올림픽 보이콧은 잘못 전달된 것”이라며 “(방사능 문제를) 일본 정부가 투명하게 알리고, 알리지 않고 묻어가면 안 된다는 것이 문제 제기의 초점”이라고 덧붙였다.

이가현 기자 hyu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