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이 최근 연이은 탄도미사일 발사는 한국을 향해 엄중한 경고를 보내기 위한 것이라고 주장했다. 한국의 F-35A 스텔스 전투기 도입과 한·미 연합 지휘소연습(CPX)에 반발, 미사일을 쐈다는 것이다.
노동당 기관지 노동신문은 7일 ‘정세긴장의 주범은 누구인가’라는 제목의 정세론 해설을 통해 이 같이 밝혔다. 신문은 “얼마 전 우리의 신형전술유도무기 위력시위 사격은 공격형 무기들을 반입하면서 외세와 함께 침략전쟁 연습에 광분하는 남조선 군부 호전광들에게 보내는 엄중한 경고”라고 보도했다. 최근 잇따른 탄도미사일 시험발사에 대한 책임이 한국에 있다는 뜻이다. 그러면서 신문은 “남조선 호전광들은 우리의 경고를 똑바로 새겨들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북한은 지난달 이후 4차례 걸쳐 탄도미사일을 발사하며 한국을 향해 으름장을 놨다. 문재인 대통령이 남북 평화경제를 강조한 지 만 하루도 되지 않은 전날 오전에는 황해남도 과일군 일대에서 동해상으로 단거리탄도미사일로 추정되는 발사체 2발을 발사했다. 같은 날 북한 외무성은 대변인 담화를 통해 “남조선이 그렇게도 ‘안보위협’에 시달리고 있다면 차라리 맞을 짓을 하지 않는 것이 더 현명한 처사로 될 것이다”며 엄포를 놨다.
이보다 앞서 지난달 25일에는 러시아 이스칸데르급 단거리탄도미사일을 발사한 뒤 “아무리 비위가 거슬려도 남조선 당국자는 오늘의 평양발 경고를 무시해버리는 실수를 범하지 말아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남조선 당국자’는 문재인 대통령을 가리킨 것으로 풀이된다. 신범철 아산정책연구원 안보통일센터장은 “(한국이) 비핵화 실무협상과 관련해 미국을 설득하라는 것”이라며 “한국을 활용해 미국의 양보를 받아내겠다는 전술”이라고 평가했다. ‘한국 때리기’를 통해 향후 미국과의 비핵화협상에서 우위를 점하겠다는 계산된 전략이라는 의미다.
통일부는 이날 정례브리핑을 갖고 북한의 탄도미사일 발사에 대해 “남북 간 불필요한 군비 경쟁을 억제하고 한반도에서의 항구적인 평화체제 구축을 위해 남북 간 군사적인 신뢰 구축 등을 포함해서 실제적인 방안들을 모색해 나갈 필요가 있다”고 촉구했다. 이상민 통일부 대변인은 “9·19 남북군사합의 상의 남북군사공동위원회를 조속히 가동해야 된다”고 강조했다.
손재호 기자 sayho@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