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시, 전국 첫 ‘탈(脫) 일본 지역기업’ 비용지원 나서

입력 2019-08-07 14:50
부산시가 전국 지자체 중 최초로 ‘탈(脫) 일본 지역기업’에 대한 비용지원에 나섰다.

시는 부산테크노파크와 손잡고 일본 수출규제에 따른 지역 기업의 애로사항을 해결하기 위해 일본에서 수입하던 부품을 미국·독일 등 다른 나라로 수입국을 대체하는데 드는 비용을 지원한다고 7일 밝혔다. 지자체의 수입국 대체 비용지원은 부산이 전국 처음이다.

시에 따르면 지난해 부산지역 기업들의 총수입액 148억 달러 중 일본에서의 수입액은 25억 달러로 산술적인 수입품의 일본 의존도는 16.8%인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일본 수입 상위 100대 품목 분석 결과 일본 의존도는 35.3%로 매우 높고, 기계, 철강·금속, 전자전기 등의 생산에 필요한 품목이 많아 일본 수출규제가 장기화할 경우 산업 전반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전망된다.

기업이 제품 생산에 필요한 부품을 바꾸려면 부품기업에 도면을 의뢰해 시제품을 제작한 뒤 적용 테스트를 완료한 후에야 부품을 변경할 수 있으므로 이 과정이 기계 분야의 경우 6개월 정도의 시간이 걸리는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이번 수입국 다변화 지원 사업은 신규 수입시장 발굴을 위해 소요되는 각종 비용 중 시제품·샘플 구입비, 물류·통관비, 바이어 방문·초청 경비, 통·번역뿐만 아니라 기업에서 제안하는 맞춤형 특수 비용까지도 지원할 계획이다.

시는 한·일 무역전쟁 확대에 대응해 긴급히 예산을 편성, 지역기업의 부품수급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마중물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이번 사업은 일본에서 주요 부품 및 소재 등을 수입하고 있는 시 소재 제조업 기업 중 신규 수입국으로 변경을 시도하는 기업이면 신청할 수 있다. 참여를 희망하는 기업은 15일부터 시 해외마케팅통합시스템을 통해 신청하면 된다.

김윤일 시 일자리경제실장은 “일본 수출규제가 장기화할 경우 지역 제조업 기업들의 부품수급에 문제가 발생할 가능성이 높다”며 “한일 무역 분쟁이 장기화할 경우 추경을 통해 충분한 예산을 확보해 기업 수출입 통계 정밀분석, 글로벌 소재부품 구매사업 등 지역기업의 피해 최소화 및 생산구조 안정화에 총력을 기울일 방침”이라고 말했다.

한편 시는 일본의 수출 규제로 피해가 우려되는 지역 제조업 가운데 기계와 전기, 화학과 자동차 등이 특히 피해가 클 것으로 판단하고 부산상공회의소, 한국무역협회 부산본부 등과 지원대책반을 운영하고 피해기업에 총 100억원 규모의 긴급 특례보증에 나서기로 했다.

부산=윤봉학 기자 bhyoo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