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책금융기관 모인 ‘M&A 금융협의체’ 이달말 출범… 일본 기술 의존도 낮춘다

입력 2019-08-07 11:52

일본 수출 규제에 대응하기 위해 정부가 ‘인수·합병(M&A) 금융 협의체’를 이달말 공식 출범시키기로 했다. 일본에 의존했던 기술들을 대체할만한 기술력을 가진 기업과 국내기업의 적극적인 M&A를 주선해 전반적인 체질 개선에 나서겠단 의미다. 협의체엔 글로벌 투자은행(IB)도 참여해 M&A 자금 지원을 도울 예정이다. 또한 정부는 M&A 법인세를 공제해주는 방안까지 내놨다.

7일 금융위원회는 KDB산업은행·수출입은행·IBK기업은행 등 3대 국책은행을 중심으로 이달 말쯤 ‘해외 M&A 금융 협의체’를 출범시킨다고 밝혔다. 협의체는 자금 지원뿐만 아니라 M&A에 적합한 기업을 발굴하고, M&A 과정에서 필요한 컨설팅을 제공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한국에 지점을 둔 글로벌 투자은행(IB)도 협의체에 포함시키기로 해 한층 더 원활한 자금 지원이 이뤄질 것으로 기대를 모은다.

앞서 정부는 지난 5일 서울 세종로 정부서울청사에서 ‘소재·부품·장비 경쟁력 강화 대책’을 내놓고 국내 기술 산업의 자체 경쟁력 확보를 위해 M&A를 적극적으로 지원하기로 결정했다. 국책은행이 나서서 국내기업의 해외 M&A에 들어가는 자금을 대주겠다는 뜻이다. 일본이 한국을 ‘백색국가(화이트리스트)에서 배제시키자 국내기업이나 연구소의 역량만으로 대(對) 일본 기술 의존을 벗어나기 어렵다는 판단에 따른 것이다.

협의체는 새로 창업하거나 사업 재편·다각화를 모색하기 위해 소재·부품·장비 분야에 신규로 진입하는 기업을 중점적으로 지원한다. 소재·부품·장비와 관련된 핵심기술을 취득하거나 물류 라인 확보 시 필요한 인수 자금을 주로 지원할 계획이다.

협의체가 준비한 ‘탄알’은 총 5조원 규모다. M&A와 관련해선 IBK기업은행이 1조원, 수출입은행이 1조5000억원을 준비해 총 2조5000억원을 마련했다. 여기에 KDB산업은행의 사업경쟁력 강화 지원 자금인 2조5000억원도 투입된다. 자문이나 컨설팅, 인수 후 통합관리(PMI) 등 인수 전과정에 걸쳐서 종합적인 지원서비스 체계를 구축하겠단 계획이다.

정부는 M&A 법인세 세액 공제로 ‘지원사격’에도 나서기로 했다. 해외 소재·부품·장비 관련 전문기업을 인수할 때 2022년까지 대기업은 5%, 중견기업 7%, 중소기업 10%의 공제율로 법인세를 감면해주기로 했다.

금융위 관계자는 “협의체에 포함되는 주체들 합의 하에 결성이 이뤄진 만큼 구체적인 운용방안도 빠른 시일 내에 나올 것”이라고 설명했다.

최지웅 수습기자 assist@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