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지역 교육현장에서 여전히 교장, 교감, 원장 등 학교 관리자들의 갑질 행태가 사라지지 않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7일 전국교직원노동조합(전교조) 대구지부에 따르면 지난달 10~21일 대구지역 유치원·초·중·고 교사 513명을 대상으로 진행된 학교 관리자의 갑질 실태에 대한 설문조사 결과 여전히 학교 관리자들의 부당한 간섭이 존재하는 것으로 나왔다.
복장 규제·간섭 여부를 묻는 질문에 교사의 16.4%(84명)가 ‘복장에 대한 규제나 간섭을 받은 경험이 있다’고 답했다. 주로 치마와 레깅스, 민소매 등 여교사와 관련된 사례가 많았는데 관리자의 성향에 따라 ‘바지보다 치마를 입어라’ ‘짧은 치마를 입지 말라’ ‘긴 치마를 입지 말라’ ‘너무 꾸미지 말라’ ‘예쁘게 하라’ 등의 부당한 간섭이 주를 이뤘다.
화장에 대한 지적을 묻는 질문에는 3.3%(17명)가 ‘학부모나 학생에게 예쁘게 보여야 한다’ ‘너무 화려한 모습을 보이면 안된다’ 등의 규제나 간섭을 받았다고 답했다.
1박2일 연수나 워크숍 등 학교 행사와 관련해서는 ‘교장의 일방적 지시로 행사가 진행된다’고 응답 교사 32%(165명), ‘교장을 포함한 부장회의에서 주로 결정된다’고 답한 34.9%(179명) 등 67.1%(344명)가 전체 교원 의견 수렴 없이 관리자와 일부 부장 의견만으로 일방적으로 진행된다고 답했다. 또 교사의 49.5%는 이 같은 일방적인 행사에 대해 ‘불편을 느꼈다’고 응답했다.
교사들은 연가, 조퇴, 외출 등 휴가 사용에 대해서도 41.1%(211명)가 ‘부당한 간섭을 받거나 제한을 받았다’고 답했다. ‘휴가의 구체적인 사유를 묻는다’ ‘정당한 사유인데도 휴가를 사용하지 못하게 한다’는 등의 사례가 있었다. 자녀돌봄휴가, 출산휴가 등 특별휴가 사용에 있어서도 교사의 26.5%가 ‘관리자의 제재나 갑질 등으로 불편함을 느낀다’고 대답했다.
전교조 대구지부 관계자는 “이번 설문조사를 통해 아직도 학교 내에서 많은 교사들이 정당한 권리 사용에 대해 부당한 간섭이나 갑질을 당하는 경우가 적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며 “이는 만연한 권위주의와 비민주적인 조직문화를 보여주는 것으로 교육청이 노동인권교육과 민주시민교육 등 갑질 근절을 위한 대책을 세우고 지도감독에 나서야 한다”고 밝혔다.
대구=최일영 기자 mc102@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