합동참모본부가 6일 오전 북한에서 발사한 2발의 발사체가 지난달 25일의 발사체와 유사하다고 평가했다. 지난달 25일의 발사체와 비교했을 때 고도는 더 낮아졌고 비행거리는 비슷했다.
합참은 6일 “우리 군은 오늘 오전 5시24분과 오전 5시36분쯤 북한이 황해남도 과일군 일대에서 동해상으로 발사한 단거리 탄도미사일로 추정되는 발사체 2발을 포착했다”고 밝혔다.
이번에 발사한 단거리 미사일의 고도는 약 37㎞, 비행거리는 약 450㎞, 최대 비행속도는 마하 6.9 이상으로 탐지했다고도 전했다.
북한이 지난달 25일 동해상으로 발사한 2발의 발사체는 각각 430㎞, 690여㎞를 비행했다. 당시 고도는 50여㎞로 추정됐다. 이때와 비교해보면 이날 발사한 발사체의 비행거리는 전과 비슷했고 고도는 더 낮아졌다.
합참은 “한미 정보당국은 이번 단거리 미사일을 지난달 25일에 발사한 단거리 탄도미사일과 유사한 비행특성을 가진 것으로 평가하고 있으며 정확한 제원은 정밀 분석 중에 있다”고 설명했다.
앞서 북한은 지난달 25일 함경남도 호도반도, 지난달 31일 원산 갈마반도, 지난 2일 함경남도 영흥 지역에서 단거리 발사체 2발씩을 동해상으로 발사했다. 군 당국은 이들 발사체를 새로운 종류의 단거리 탄도미사일로 보고 있다.
북한은 지난달 31일과 지난 2일 발사에 대해 ‘신형 대구경조종방사포’ 시험사격이라고 주장했다. 하지만 군 당국은 2일 발사체의 비행속도가 마하 6.9로 탄도미사일과 유사하고 방사포로 보기에는 너무 빠른 속도라고 판단했다.
이날 발사는 북한 동부에서 바로 동해상으로 발사한 최근 사격과 달리 북한 서쪽에서 내륙을 가로질러 동해로 발사했다. 전문가들은 북한이 과거에도 새로운 무기의 발사실험을 할 때 처음에는 민간 피해 등을 우려해 안전하게 하다가 성능이 확인되면 내륙 위로 발사했다고 지적했다.
한편 북한이 13일간 발사체를 4차례 발사하면서 위기가 고조되는 분위기다. 한미 연합훈련에 대한 반발로 분석된다. 한미는 5일부터 하반기 한미 연합연습을 사실상 시작했고, 오는 11일부터 약 2주간 본 훈련에 돌입한다.
북한은 이날 발사체를 발사한 직후 외무성 대변인 명의의 담화를 발표하고 “우리의 반발이 있을 것이라는 것을 뻔히 알면서도 우리를 자극하고 위협하는 합동군사연습을 기어코 강행하는 저의가 과연 어디에 있는가”라며 “남조선이 그렇게도 ‘안보위협’에 시달리고 있다면 차라리 맞을 짓을 하지 않는 것이 더 현명한 처사일 것”이라고 비판했다.
정진영 기자 young@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