취임 1주년 맞은 정동영 “내년 총선에서 3당 되겠다” …비당권파와 오늘밤 운명의 담판

입력 2019-08-05 16:29

정동영 민주평화당 대표가 5일 취임 1주년을 맞아 기자간담회를 열고 “내년 총선에서 제3당으로 올라서겠다”며 “거대양당의 적대적 공존의 벽을 돌파하기 위해 제3진영의 통합과 연대에 나서겠다”고 말했다. 정 대표는 이날 국회에서 이같이 밝히고 “바른미래당 개혁그룹, 정의당과 시민사회와 힘을 모으겠다”고 말했다.

정 대표는 또 “미국, 중국, 일본, 러시아 4강 한복판에 있는 지정학의 비극이 도래하고 있다”며 “어떻게 우리 생존을 지키고 비극에 맞설 것인지 논의하기 위해 5당 대표와 사회원로와의 청와대 회동을 제안한다”고 밝혔다.

하지만 민평당과 정 대표 앞에 놓인 현실은 녹록지 않다. 유성엽 원내대표를 중심으로 신당 창당을 주장하고 있는 대안정치연대는 연일 정 대표를 압박하고 있다. 이런 가운데 이날 오전 정대철, 권노갑 상임고문이 나서서 당의 분열을 막기 위해 당권파와 비당권파에게 3가지 협상안을 제시했다. 협상안은 새로운 정치세력과 기존 정치세력이 함께 참여하는 신당을 추진하고, 이를 위한 당내 공식 추진 기구 구성을 핵심 내용으로 한다. 또 신당 추진 기구에 당권파와 비당권파가 각각 추천하는 1인을 공동위원장으로 선출하고, 대안정치연대가 당무에 복귀할 것을 조건으로 내걸었다.

그러나 대안정치연대 장정숙 대변인은 즉각 국회 정론관에서 브리핑을 열고 “상임고문 두 분의 애당심과 충정으로 신당 추진 방법론을 제안한 것에 큰 틀에서 동의한다”면서도 “그러나 신당이 제대로 만들어지기 위해서는 당 지도부가 모든 것을 즉시 내려놓는 것이 순서”라며 협상안을 거부했다. 사실상 정 대표가 물러나지 않으면 어떤 논의도 할 수 없다는 뜻이다.

정 대표는 대안정치연대의 이 같은 요구와 관련해 “당의 분열이 부끄럽다. 대표로서 책임을 통감한다”며 “제3연대 충정은 이해하지만, 정치인이 살기 위한 충정이 아닌 국민을 살리기 위한 충정을 고민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어 “(당이) 국민의 먹고 살길을 찾아야 할 판에 자신들 살길 찾는 소리(小利)는 갈 길이 아니다”라고 지적했다. 또 “대안정치 쪽에선 뭘 내려놓겠다는 것인지 궁금하다”며 “21대 총선 불출마를 각오하고, 그걸 내려놓겠다는 것인가”라고 반문했다.

정 대표는 이날 저녁 비당권파와 만나 신당 창당 및 제3지대에 대한 끝장토론을 벌일 예정이다. 정 대표는 “우리가 같은 배를 탄 입장인데 배가 여기서 두 동강 나면 되겠습니까? 합의점을 잘 찾아볼게요”라며 “허심탄회하게 이야기를 나누겠다”고 말했다.

박재현 기자 jhyu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