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양가상한제·청약개편 연기?’ 비수기 8월에 3만가구 분양 러시, 이유는

입력 2019-08-05 16:16 수정 2019-08-05 16:21

정부의 부동산 규제 강화 기조가 계속되는 가운데 올 하반기 최대 이슈인 민간택지 분양가상한제와 청약시스템 개편작업의 연기 가능성이 대두되면서 분양시장 혼란이 길어지고 있다. 추가 규제를 앞두고 8월 분양물량이 전년 대비 4배 가까이 급증했지만 정책 리스크에 공급 유동성도 함께 요동치고 있다.

5일 부동산업계에 따르면 이번주로 예상됐던 민간택지 분양가상한제 확대 시행 발표가 늦춰질 분위기다. 일본과의 무역갈등이 심해지면서 범정부 차원의 대응이 선결과제로 부상, 기획재정부 협의 등이 쉽지 않아서다. 여당 내에서도 제도 시행을 놓고 신중론이 제기되면서 추가 협의 필요성까지 대두되고 있다.

이에 더해 하반기 중 예정이던 주택청약 업무 한국감정원 이관과 청약시스템 개편이 내년 2월로 연기될 것이란 관측도 나온다. 주택법 개정안 통과가 지연되고 있는데다 9월 분양 성수기에 청약업무가 중단되는 것도 부담이다. 국토부는 관련해 아직 확정된 바가 없다는 입장이지만 개편 시기에 대한 속도조절로 정부 및 업계 부담을 줄일 것으로 보인다.

이처럼 분양시장 내 규제 불확실성이 확대되면서 8월 분양 물량은 지난해 같은 기간에 비해 4배 이상 증가할 전망이다. 신규 아파트 분양 일정을 확정하는데 애를 먹어왔던 건설사들이 당초 9월로 예정됐던 대대적 시스템 변화를 앞두고 미뤄왔던 물량을 쏟아내는 추세로 해석된다.

부동산정보서비스 직방이 올 8월 분양예정 아파트를 조사한 결과 전국에서 39개 단지, 총 3만6087가구가 공급될 예정이다. 이 중 일반분양분은 2만8143가구다. 전년 동기 대비 총 가구 수는 328%, 일반분양은 399% 증가한 수준이다.

통상 8월은 휴가철과 함께 무더운 날씨 영향으로 분양이 줄어드는 전통적 비수기로 통한다. 하지만 올 가을 민간택지에 분양가 상한제 시행이 사실상 예고된 데다 청약시스템 개편이 목전에 닥치면서 가을 분양 성수기가 개점휴업 상태가 될 수 있다는 불안감이 시장에 만연한 상황이라 분양이 앞당겨져 공급물량이 8월에 몰린 것으로 풀이된다.

8월 분양 예정 물량 전체 3만6087가구 중 2만5502가구가 서울을 비롯한 수도권에 집중됐다. 경기도가 1만9072가구로 계획된 물량이 가장 많다. 서울의 경우 송파·동작구 등에서 재건축·재개발 아파트가 공급되면서 7개 단지, 5253가구가 시장에 풀릴 예정이다. 지방에서는 1만585가구가 분양될 예정이며 이중 경남 지역이 4298가구로 가장 많은 편이다.

한동안 공급이 뜸했던 서울에서는 모처럼 알짜 지역 분양이 대거 진행된다. 대우건설은 서대문구 홍제동 제1주택 재건축 사업인 ‘서대문 푸르지오 센트럴파크’와 동작구 사당동 일대 사당3구역 재건축인 ‘이수 푸르지오 더프레티움’ 등 2개 단지를 공급한다. 송파구 일대에는 호반건설의 위례신도시 ‘호반써밋송파 1·2차’와 롯데건설의 거여2-1구역 재개발사업 ‘송파시그니처롯데캐슬’ 등 신도시와 재개발이 동시에 공급된다.

업계 관계자는 “정부 추가규제 시행을 앞두고 건설사들이 분양시기 조율에 애를 먹고 있는 상황”이라며 “정부 정책 시행의 유동성에 따라 분양물량에도 변동이 발생할 가능성은 남아있다”고 전했다.

정건희 기자 moderato@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