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심 ‘수소연료전지 발전소’ 건설 국책사업 곳곳서 마찰

입력 2019-08-05 13:50
정부가 친환경에너지 공급을 위해 도심에 추진 중인 ‘수소연료전지 발전소’ 건설사업이 국책사업임에도 안전성 논란 등으로 전국 곳곳에서 주민들과 마찰을 빚고 있다.

부산시와 금정구는 최근 A사가 금사회동동 도시첨단산업단지 내 3300㎡ 부지에 설비용량 2만㎾인 수소연료전지 발전소 설립을 추진 중이라고 5일 밝혔다.

수소연료전지 발전소는 천연가스에서 분리한 수소를 공기 중의 산소와 반응 시켜 전기를 만드는 친환경 발전시설을 뜻한다.

A사는 한 해 1억6311만㎾를 생산해 전력거래소에 판매할 계획인데 연간 매출은 440여억원으로 추산되며, 20년 간 운영할 계획이다.

설비용량이 3000㎾가 넘으면 산업통상자원부의 허가를 받아야 해 A사는 지난달 산업통상자원부에 전기발전사업 신청서를 제출했다.

산업부 승인을 받은 뒤에는 금정구에서 개발행위 허가를 받야아 한다. 그러나 지난달 열린 간담회에서 주민들은 A사의 발전소 설립을 반대했다.

주민들은 “발전소 배터리는 폭발 위험이 있고, 발전소 건립 예정부지 반경 100m 내에 40세대가 거주 중”이라며 “지난 5월 8명의 사상자를 낸 강원도 강릉 수소저장탱크 폭발 같은 사고가 일어날 수 있다”고 반발했다.

A사 관계자는 “전기사업 추진 절차상 주민 수용성 검토는 산업부의 승인을 얻은 후에 해야 한다”며 “앞으로 주민과 이익 공유 등을 놓고 순조롭게 대화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금정구 관계자도 “산자부의 ‘주민 수용성 조사’ 요청에 따라 주민 의견 수렴 결과를 회신한 상태”라며 “산자부 전기위원회 심의를 거쳐 발전소 건설 허가가 떨어지면 구에서도 개별법에 따라 도시 계획, 환경 영향 등을 충분히 살펴보겠다”는 입장을 보였다.

한편 수소연료전지 발전소의 안전성 논란과 반발은 전국적으로 확산되고 있다.

최근 한국가스공사가 인천 연수구 송도국제도시에 수소연료전지 발전소 건립에 대한 예비타당성 조사를 마치자 주민들이 강하게 반발하고 있다.

이와 함께 인천 동구와 강원 강릉, 전남 장흥 등 수소연료전지 발전소 건립을 추진 중인 다른 지역에서도 주민들과 마찰을 빚고 있다.

부산=윤봉학 기자 bhyoo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