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부간선도로 상부 인공대지 조성 후 상상도
북부간선도로 컴팩트시티에는 청년 1인가구와 신혼부부 중심의 1000가구 규모의 공공주택(청신호), 주민 삶의 질과 직결되는 공원, 보육시설 같은 생활 SOC(사회간접자본), 일자리와 관계된 업무·상업시설이 집약적·입체적으로 들어선다.
인공대지 위 곳곳에는 오픈 공간을 최대한 확보해 인근 지역 주민들까지 함께 이용할 수 있는 녹지를 대폭 확대하고 도시농업시설, 여가활동을 위한 공동이용시설 등을 촘촘하게 배치한다.
김세용 서울주택도시공사(SH) 사장은 5일 서울시청 브리핑룸에서 이같은 내용의 북부간선도로 입체화 사업 밑그림을 발표했다.
그동안 공공주택 공급을 위한 주요 해법은 도시외곽에 대규모 택지를 개발하는 것이었다. 하지만 서울시에 대규모 택지개발 자원은 고갈되었고 그 대안으로 도심의 저이용 토지를 효율적으로 활용하는 컴팩트시티가 새로운 유형의 신개념 공공주택 모델로 떠올랐다.
서울시와 SH공사는 국제현상설계공모를 통해 창조적으로 디자인함으로써 도시공간 재창조 효과를 극대화해 ‘낙후·고립’이라는 공공주택에 대한 고정관념을 깨고, 나아가 지역 발전의 마중물 역할을 하도록 유도할 방침이다.
도로 위 도시라는 점에서 소음, 진동, 미세먼지 등의 우려와 관련해서는 수차례 전문가 자문회의를 통해서 충분히 해결할 수 있다는 검토 의견을 받았으며 향후 설계단계에서 전문가들의 도움을 받아 안전하고 친환경적인 최적의 공법을 채택해 적용할 계획이다.
우선 1단계로 단절된 지역을 연결하기 위해 북부간선도로 신내 IC~중랑 IC 500m 구간을 터널 식으로 만들어 그 위에 인공대지를 조성한다. 이어 지역주민을 위한 체육시설, 보육시설, 문화시설 등 생활형 SOC 시설과 근린생활시설을 인공대지 주변에 배치한다. 이렇게 되면 인근 주민들에게 절실했던 다양한 편의시설이 제공돼 한층 살기좋은 지역으로 탈바꿈하게 될 것으로 보인다.
인공대지에는 오픈스테이스를 최대한 확보해 삶을 쾌적하게 하는 녹지공간을 충분히 배치하고 여가활동 증진을 위한 주민 공동공간, 도시농업을 할 수 있는 텃밭 등을 조성한다.
또 복개된 북부간선도로 상부의 신내 3지구와 신내역 사이에 스카이웨이(입체 보행교)를 설치해 도로로 막혔던 역세에 더욱 빠르고 안전한 보행로를 제공한다.
아울러 북부간선도로 컴팩트시티에는 청년창업을 지원하는 지식산업센터와 도전숙, 기숙사 등을 건설해 청년들이 쉬고, 일하고, 즐기고 소비하며 지역경제를 활성화할 수 있도록 할 계획이다.
서울시는 속도감 있는 사업 추진을 위해 사업지 총 7만4675㎡를 ‘공공주택지구’(신내4 공공주택지구)로 지정한다. 공공주택지구로 지정되면 도시계획위원회 심의, 환경·교통영향평가 등 건축에 필요한 각종 심의를 통합심의로 받게 돼 사업추진 절차가 대폭 간소화된다.
신내4 공공주택지구 지정 대상지는 북부간선도로 500m 구간(2만3481㎡), 북부간선도로와 신내차량기지 사이 저층창고 부지(3만3519㎡), 도로 북측 완충녹지(1만7675㎡)로 구성되며 국공유지가 67%이고 사유지가 33%다.
이와 관련해 5일부터 14일간 공공주택지구 지정(안)과 전략환경영향평가서(초안)에 대해 주민들이 의견을 듣는 주민공람을 진행한다.
시는 주민의견 수렴절차를 거쳐 연내 지구지정을 마무리하고 10월 중 국제현상설계공모를 통해 설계안을 채택할 계획이다. 이르면 2021년 하반기에 착공해 2025년이면 실제 입주가 이뤄질 전망이다.
김재중 선임기자 jjkim@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