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정폭력 대처 기구 ‘위기가정 통합지원센터’가 서울 15개 자치구로 확산한다.
서울시는 5개 자치구(중구, 은평, 마포, 관악, 송파)에 위기가정 센터가 추가 설립됐다고 5일 밝혔다. 앞서 10개 자치구(성동‧광진‧동대문‧중랑‧도봉‧노원‧서대문‧구로‧금천‧영등포)는 지난해 10월부터 올해 6월까지 위기가정 센터를 시범 운영해왔다. 내년에는 25개 전체 서울 자치구에서 센터를 운영할 계획이다.
위기가정 센터에는 경찰청과 자치구 관계자, 상담원 등이 참여한다. 학대예방경찰관(경찰관)‧통합사례관리사(자치구)‧상담원(서울시 50+보람일자리)이 함께 근무하면서 발견·신고된 위기가정에 대한 초기상담부터 통합적 사례관리, 전문기관연계와 복지서비스 제공, 사후관리까지 한 번에 서비스를 제공한다.
학대예방경찰관(APO)은 가정폭력, 학대로 112에 신고된 가구 중 위기가정 센터 연계 정보제공에 동의한 가정의 정보를 이튿날 공유하고 필요하면 통합사례관리사와 합동 방문을 실시한다. 통합사례관리사는 위기가정으로 판단 시 해당 가구의 복지‧의료‧교육‧가정폭력 피해 전문상담, 법률상담 등 필요한 부분에 대한 관련 공적 복지서비스를 지원하고, 민간 전문기관에 서비스를 연계해 준다. 상담원은 초기 전화 상담을 통해 위기가정의 기본적인 실태를 파악한다.
오주환 기자 johnny@kmib.co.kr
가정폭력 대처 센터, 서울 15개 자치구로 확산
입력 2019-08-05 11: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