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 국민 10명 중 6명이 일본 정부의 ‘화이트리스트’(안보상 수출심사 우대 국가) 한국 제외 결정에 찬성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또 아베 신조 일본 총리의 숙원인 개헌도 42%나 찬성했다.
일본 TBS방송은 5일 계열사인 JNN이 3~4일 전국 18세 이상 남녀 2363명18세 이상 남녀 2363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여론조사 결과, 일본 정부가 수출관리상 최고 우대국 그룹 A에서 한국을 제외한 결정에 대해 응답자 64%가 ‘타당하다’고 생각했다고 밝혔다. 10명 중 6명 꼴이다. 반면 ‘타당하다고 생각하지 않는다’는 응답은 18%였다. 3배 이상 격차가 난다. ‘잘 모르겠다’는 응답도 18%였다.
아베 내각 지지율도 고공행진했다. 아베 내각을 지지하는 비율은 지난달 조사보다 1.4% 포인트 늘어난 60.1%였다. 지지하지 않는다고 한 응답자는 0.1% 포인트 늘어난 37%였다. 또 지난 참의원 선거 결과가 자민당·공명당의 연립여당이 과반을 유지한 것에 대해 ‘만족하고 있다’라고 대답한 사람은 48%로 조금 낮았고, ‘만족하지 못한다’는 37%였다.
아베 정부의 대 한국 강경대응에 아베 총리의 숙원 사업인 개헌에도 비교적 높은 호응을 보였다. ‘일본 헌법을 개정해야 한다고 생각합니까? 아니면 개정해야 하지 말아햐 한다고 생각합니까?’라는 질문에 42%가 ‘개정해야 한다’고 응답했다. 지난달 조사에서 개헌세력 3분의 2 이상 의석을 차지하는 것에 찬성하느냐는 질문에 41%가 ‘찬성한다’고 한 데서 1% 포인트 상승한 수치다. 39%가 ‘개정하지 말아야 한다’고 답했다. ‘잘 모르겠다’는 19%였다.
앞서 아베 총리는 지난 1일 국익과 엄중한 국제정세 등을 거론하며 대(對)한국 강경기조 분위기를 이어갈 뜻을 시사한 바 있다. 그는 이날 자민당 중·참의원 의원총회에서 “엄중함이 증가하는 국제정세 속에서 국익을 지켜나가 헌법 개정 등을 한 몸이 돼 다뤄가고 싶다”고 말했다. 일본이 안보 명목으로 한국에 수출규제를 강화하고, 이에 따라 한·일 갈등이 증폭하는 상황에서 국익을 언급하며 본인의 숙원인 개헌까지 연결한 것이다.
다만 일본 국민 대다수의 우선순위에서는 개헌은 후순위에 머물렀다. ‘아베 내각에 우선적으로 원하는 정책’을 묻는 질문에 ‘헌법개정’은 8%에 불과했다. ‘연금·의료 등 사회 보장’이 62%, ‘경기·고용’ 44%에 비해 크게 낮았다.
권중혁 기자 gree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