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 당국 “日 화이트리스트 미리 불안 말아야…시장 대처 강화할 것”

입력 2019-08-05 09:59 수정 2019-08-05 10:04
손병두 금융위원회 부위원장. 금융위 제공

금융 당국이 일본의 화이트리스트(수입 심사 우대국) 배제 조치의 영향을 과도하게 확대 해석할 필요는 없다고 선을 그었다. 다만 경계심을 늦추지 않고 금융시장 상황을 면밀히 살펴보겠다고 강조했다.

금융위원회는 5일 정부서울청사에서 손병두 금융위 부위원장 주재로 기획재정부와 한국은행, 금융감독원, 한국거래소 관계자 등과 금융상황 점검회의를 열고 이같이 밝혔다.

손 부위원장은 모두발언을 통해 “글로벌 제조업 경기가 둔화되는 가운데 미·중 무역 갈등, 일본의 반도체 소재 수출 규제 등 대외적 경제 환경이 국내 수출과 기업 실적에 우호적 상황은 아니다”며 “여기에 일본의 화이트리스트 배제라는 부정적 요소가 더해지며 시장의 불확실성이 커지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일본의 화이트리스트 배제 조치는 지난달부터 예상했던 이벤트로 그 영향이 시장에 상당부분 미리 반영된 측면이 있다”며 “우리 기업들의 생산과 수출에 영향이 있을 것으로 예상되지만 민·관이 총력 대응하고 있는 만큼 미리 불안해 할 필요는 없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국내 증시와 환율 변동성에 대해서도 크게 우려할 수준이 아니라고 금융 당국은 평가했다. 손 부위원장은 “우리나라는 세계 9위 수준의 외환보유액를 유지하고 있고 단기외채 비율도 낮은 수준을 유지하고 있다”며 “외국인 자금의 유출입도 안정적인 모습을 보이고 있고, 신용부도스와프(CDS) 등 국가 리스크에 대한 시장의 평가도 양호한 수준을 유지하고 있다”고 말했다.

다만 경계감을 늦추지 않고 국내외 금융시장 상황을 면밀히 모니터링하겠다고 덧붙였다. 손 부위원장은 “일본의 화이트리스트 배제 시행과 함께 미·중 무역 분쟁, 노딜 브렉시트(영국의 합의없는 유럽연합 탈퇴) 등 우리 금융시장을 둘러싼 대외 불확실성으로 하반기 경제 여건도 녹록지 않다”며 “기재부, 한은 등 유관기관과 긴밀히 협조해 시장 불안에 공동 대처하고, 필요할 때 이미 마련한 컨틴전시 플랜(비상대응 계획)에 따라 신속하고 과감하게 대응할 것”이라고 말했다.

양민철 기자 liste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