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 정부가 독일 수도 베를린에서 열리는 전시회에 ‘평화의 소녀상’ 작품이 출품되자 공문을 보내 철거하라고 압박한 사실이 드러났다. 위안부 문제는 이미 한국과 최종 합의했다는 것이 이유다.
4일 연합뉴스에 따르면 주독 일본대사관은 베를린의 여성 예술가 전시관인 ‘게독(GEDOK)’ 측에 지난 1일 공문을 보냈다. 지난 2일 시작된 '토이스 아 어스'(TOYS ARE US)라는 전시회에 소녀상이 출품된 것을 알고 철거를 요청한 것이다. 전시된 소녀상은 일본 최대 국제예술제인 ‘아이치 트리엔날레’에 출품됐다 사흘 만에 철거된 소녀상과 같은 김운성·김서경 작가의 작품이다.
보도에 따르면 일본대사관 공문에는 위안부 문제는 이미 한국과 최종 합의했다는 주장이 담겼다. 공문은 1965년 한일청구권협정으로 배상 문제가 해결됐으며, 일본 정부는 위안부 여성들을 지원하기 위한 민간 기구인 ‘여성을 위한 아시아평화국민기금’을 조성하는 데 협력했다고 강조했다.
또 “일본과 한국 정부가 위안부 문제에 대해 2015년 ‘최종적이고 불가역적’인 합의를 했다”면서 “이후 들어선 문재인 정부가 화해치유재단을 해산한 것은 2015년 양국 합의의 관점에서 전적으로 받아들일 수 없다”고 주장했다.
이어 “일본은 양국 합의에 따른 모든 약속을 이행했다”고 주장하고 “국제사회는 주의 깊게 한국의 합의 이행을 기다리고 있다. 일본 정부는 한국 정부가 합의를 이행하도록 계속 요구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마지막 부분에는 “일본 정부는 21세기에 여성인권을 위해 선도할 것”이라고도 적었다.
일본이 보낸 공문과 관련해 독일에서 활동하는 한국 관련 시민단체인 코리아페어반트(Korea Verband)의 한정화 대표는 “외교적 문제를 떠나, 위안부 피해자 문제는 전 세계적으로 약자인 여성의 문제인 데다, 예술 작품 등으로 기리고 기억해야 할 문제”라고 지적했다.
전시 관계자들에 따르면 일본 측은 앞서 지난 6월 도르트문트에서 열린 ‘독일 교회의 날’ 기념 전시회에 전시된 소녀상 작품에 대해서도 철거를 요청했다.
신유미 인턴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