와타나베 관장은 3일 버즈피드와의 인터뷰에서 소녀상 철거와 관련, “정부 보조금을 받는다고 해서 정부가 말하는 대로 표현할 수밖에 없다면 국책 아트에 불과할 것”이라고 비판했다. 그는 이어 “세금을 지원받지만 전시 내용에 대해선 표현의 자유를 보장받아야 한다. 그것이 유럽 등의 예술계 상식”이라면서 “그 상식이 일본 정부에 의해 뒤바뀌다니 지방자치단체의 독립성을 생각해도 유감”이라고 덧붙였다.
앞서 일본 최대 규모 국제예술제인 ‘아이치트리엔날레 2019’에서 ‘평화의 소녀상’이 포함된 기획전은 전시 3일 만에 중단됐다.
아이치트리엔날레의 실행위원장인 오무라 히데아키(大村秀章) 아이치현 지사는 3일 기자회견을 열고 ‘비열하고 비인간적인 팩스와 메일, 공갈, 협박 등’이 쇄도한다는 이유로 해당 전시를 중단하겠다는 방침을 밝혔다. 가와무라 다카시(河村たかし) 나고야 시장도 “일본 국민의 마음을 짓밟는 것”이라며 전시 중단을 요구했다. 스가 요시히데(菅義偉) 관방장관은 예술제에 대한 보조금 교부 여부에 신중히 대응하겠다며 보조금 지원 중단을 시사하기도 했다.
와타나베 관장은 1990년대부터 위안부 활동을 펼친 인물이다. ‘아시아 여성자료센터’와 ‘바우넷(VAWW-NET) 재팬’ 등 여성 인권과 전시 성폭력 문제 해결을 위한 비정부기구(NGO)에서 활동했다. 2005년 출범한 WAM을 통해 매년 위안부 및 전시 성폭력 특별전과 관련 세미나를 열고 있다. 그는 위안부의 존재를 모르는 일본의 젊은 세대들에게 역사적인 사실을 알려야 한다고 믿는다. 과거를 제대로 알려 다시는 같은 잘못을 되풀이하지 않도록 만들겠다는 것이다.
김상기 기자 kitting@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