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북한과 미국, 중국, 아세안 10개국을 포함해 27개국이 참여한 아세안지역안보포럼(ARF) 외교장관회의의 의장성명에 지난 6월 30일 판문점 회동을 환영하는 내용과 함께 완전한 비핵화와 핵·미사일 실험 중단에 대한 약속 이행을 촉구하는 내용이 담겼다.
올해 ARF 의장국인 태국이 2일 열린 ARF 외교장관회의 내용을 정리해 3일 발표한 의장성명엔 한반도 정세와 관련해 논의된 내용이 담겼다.
성명은 ‘장관들은 비핵화된 한반도에서 항구적 평화와 안정을 실현하기 위해선 평화로운 대화의 지속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면서 ‘장관들은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의 비무장지대(DMZ) 회동을 환영하며 협상 재개를 고대했다’고 밝혔다.
성명엔 또 ‘장관들은 북한이 언급한 대로 완전한 비핵화를 완료하고 핵·미사일 실험을 하지 않겠다는 약속을 지킬 것을 촉구했다’는 내용과 ‘한반도의 완전한 비핵화를 위해 모든 유엔 대북 결의를 완전히 이행하고 이는 지역의 평화와 안정에 기여할 것을 재확인했다’는 내용이 담겼다.
아울러 ‘장관들은 모든 관련국이 평화로운 대화를 계속하고 (남북 정상의) 판문점 선언과 북미 정상 공동선언, (남북 정상의) 평양 공동선언의 완전하고 신속한 이행을 포함해 비핵화된 한반도에서 항구적 평화와 안정의 실현을 위해 협력할 것을 촉구했다’는 내용도 성명에 포함됐다.
아시아와 태평양 지역 27개국이 참여하는 ARF에서는 북핵 문제와 남중국해 문제, 사이버안보 등 역내 주요 안보 이슈들이 폭넓게 논의됐다. 북한에선 주로 외무상이 참여해왔지만, 올해는 리용호 외무상 대신 김제봉 주 태국 대사가 수석대표로 참석했다. 북한은 2000년 ARF에 가입한 이후 외무상이나 본부 국장을 회의에 참석시켜왔다. 이번처럼 회의가 열리는 국가에 주재하고 있는 대사가 나타난 것은 처음이다.
김 대사는 현지시각으로 2일 오후 1시44분에 회의장이 있는 방콕 센타라 그랜드 호텔에 도착, 리 외무상의 불참 이유를 묻는 취재진의 질문에 묵묵부답한 채 건물 안으로 들어갔다. 각국 외교장관들은 오후 2시부터 시작된 회의에서 연설을 이어갔으나 김 대사는 발언하지 않았다. 또 북측 대표의 입장문을 언론에 전하지도 않았다. 북한은 그동안 ARF를 북핵 문제에 관한 입장을 알리는 계기로 삼아왔지만 이번엔 달랐다. 일각에선 북미 실무협상과 관련해 입장이 정리되지 않았기 때문이라는 분석을 내놓고 있다.
천금주 기자 juju79@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