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착] 한미일 3자 회담 후에도 냉랭한 강경화·고노 다로…난처한 폼페이오

입력 2019-08-03 07:28
강경화 외교부 장관이 2일 오후(현지시간) 방콕 센타라 그랜드호텔에서 마이크 폼페이오 미국 국무부 장관, 고노 다로 일본 외무상과 외교장관회담을 마치고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2019.08.02.

마이크 폼페이오 미국 국무장관이 한·미·일 관계의 신뢰를 강조하며 고조되고 있는 한·일 갈등의 중재에 나섰다. 그러나 강경화 외교부 장관과 고노 다로 일본 외무상의 갈등은 여전한 듯 냉랭했다. 두 사람 사이에서 폼페이오 장관은 난감해졌다. 이런 모습은 회담 후 가진 기념촬영 현장에서 고스란히 포착됐다.

폼에이오 장관은 현지시각으로 2일 오후 아세안지역안보포럼(ARF) 등이 열리고 있는 방콕 센타라 그랜드호텔에서 강 장관과 고노 외무상을 만났다. 당초 미일·한미외교장관 회담이 진행될 예정이었지만 다른 일정 때문에 결국 취소됐고 한미일 외교 3자 간 회동이 곧바로 진행됐다.

강경화 외교부 장관이 2일 오후(현지시간) 방콕 센타라 그랜드호텔에서 마이크 폼페이오 미국 국무부 장관, 고노 다로 일본 외무상과 외교장관회담을 마치고 기념촬영을 했다. 폼페이오 장관이 기념촬영 후 강경화 장관과 고노 다로 외무상을 향해 손짓을 하고 있다. 2019.08.02.

일본 정부가 이날 오전 각의에서 화이트리스트 제외를 결정했고 한국 정부도 이에 상응하는 조치를 취할 것이라고 예고해 한·일 갈등이 고조됐다. 이에 미국이 어떤 입장을 내놓을지 주목됐다. 30분간 한미일 회담이 이어진 뒤 세 사람은 포토존 앞에 섰다.

강경화 외교부 장관이 2일 오후(현지시간) 방콕 센타라 그랜드호텔에서 마이크 폼페이오 미국 국무부 장관, 고노 다로 일본 외무상과 외교장관회담을 마치고 기념촬영을 했다. 폼페이오 장관이 기념촬영 후 강경화 장관과 고노 다로 외무상을 향해 손짓을 하고 있다. 2019.08.02

강경화 외교부 장관이 2일 오후(현지시간) 방콕 센타라 그랜드호텔에서 마이크 폼페이오 미국 국무부 장관, 고노 다로 일본 외무상과 외교장관회담을 마치고 기념촬영을 했다. 촬영 후 고노 외무상과 폼페이오 장관이 먼저 이동하고 있다. 2019.08.02.

그러나 분위기는 여전히 냉랭했다. 회담 직후 가진 기념촬영에서 강 장관과 고노 외무상은 서로 눈도 맞추지 않고 악수도 하지 않았다. 폼페이오 장관은 두 사람 사이에서 난처한 표정을 지으며 멋쩍은 웃음을 보였다. 촬영이 끝난 뒤 폼페이오 장관은 강 장관과 고노 외무상과 각각 악수했다. 촬영 직후 폼페이오 장관은 ‘일본 조치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냐’는 취재진에 질문에 답변하지 않고 미소만 보였다.

한미일 외교장관 회담을 마친 강경화 장관이 브리핑을 하기 위해 2일 오후(현지시간) 태국 방콕 센타라 그랜드호텔 미디어센터로 들어서고 있다. 2019.08.02.

한미일 외교장관 회담을 마친 강경화 장관이 2일 오후(현지시간) 태국 방콕 센타라 그랜드호텔 미디어센터에서 브리핑을 하고 있다. 2019.08.02.

강경화 외교부 장관이 2일 오후(현지시간) 방콕 센타라 그랜드호텔 미디어센터에서 한미일 외교장관 회담 브리핑을 마친 뒤 발걸음을 돌리고 있다. 2019.08.02.

강 장관은 회담 직후 예정에 없던 약식 기자회견을 열고 상황을 전했다. “미국도 이 상황에 대해 많은 우려를 갖고 있고 앞으로 어렵지만 미국이 할 역할을 다하겠다는 이야기가 있었다”고 전한 강 장관은 “일본 측에 화이트리스트 배제 결정에 대한 강한 유감 표명을 전달했고 즉각 철회와 대화에 나오라는 이야기를 분명히 했다”고 강조했다.

강 장관은 “오늘 이 사태가 있기 전까지 우리가 끝까지 대화를 통해 문제를 풀자는 이야기를 전했고 미국도 같은 노력을 기울였지만 상황이 이렇게 된 데 대해 굉장히 유감스럽게 생각한다”고 덧붙였다.

마이크 폼페이오 장관 트위터 캡처

폼페이오 장관은 회담 후 트위터에 한미일 외교장관회의 사진과 함께 세 사람이 만났다고 전했다. “방콕에서 열린 아세안 회의에서 강경화 외교부 장관과 고노 다로 일본 외무상을 만났다”고 한 폼페이오 장관은 “한국과 미국, 일본의 관계는 강하며, 북한의 비핵화에 중요하다”고 밝혔다. 그는 또 “한미일 관계가 자유롭고 개방적인 인도-태평양에도 중요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강경화 외교부 장관이 2일 오전(현지시간) 태국 방콕 센타라 그랜드호텔에서 열린 동아시아정상회의(EAS) 외교장관회의에서 마이크 폼페이오 미국 국무장관 자리로 찾아가 대화하고 있다. 오른쪽 뒷모습은 고노 다로 일본 외무상. 2019.08.02.


강경화 외교부 장관이 2일 오전(현지시간) 태국 방콕 센타라 그랜드호텔에서 열린 동아시아정상회의(EAS) 외교장관회의에 참석하며 마이크 폼페이오 미국 국무장관과 인사를 나누고 있다. 2019.08.02.

강경화 외교부 장관이 2일 오전(현지시간) 태국 방콕 센타라 그랜드호텔에서 열린 동아시아정상회의(EAS) 외교장관회의에서 마이크 폼페이오 미국 국무장관 자리로 찾아가 대화하고 있다. 2019.08.02.

= 마이크 폼페이오 미국 국무장관이 2일 오전(현지시간) 태국 방콕 센타라 그랜드호텔에서 열린 동아시아정상회의(EAS) 외교장관회의에서 머리를 만지고 있다. 폼페이오 미 국무장관 앞에 강경화 외교부 장관의 모습이 보인다. 2019.08.02.


강경화 외교부 장관이 2일 오전(현지시간) 태국 방콕 센타라 그랜드호텔에서 열린 동아시아정상회의(EAS) 외교장관회의에 참석하며 마이크 폼페이오 미국 국무장관과 인사말을 나누고 있다. 2019.08.02.

앞서 강 장관과 고노 외무상은 이날 오전부터 갈등이 고조됐다. 이날 오전 열린 아세안+한중일 정상회의에서 두 장관은 설전을 벌였다. 강 장관은 모두 발언이 끝난 뒤 일본의 화이트리스트 배제 각의 결정에 대해 “매우 일방적이고 독단적인 조치”라며 공개 비판했다.

강 장관은 “불행히도 이 지역에서 자유무역 체제의 기본 원칙은 도전에 직면했다”며 “나는 일본이 오늘 아침 한국을 수출 우대국가 명단에서 제외했다는 사실에 대해 여러분들의 주의를 환기하지 않을 수 없다”고 했다. “매우 임의적이고 일방적인 조치”라고 한 강 장관은 “우리는 이런 결정에 엄중히 우려를 표한다”고 덧붙였다.

이에 고도 외무상은 “아세안 국가들로부터 일본의 수출 관리 조치에 대해 어떠한 불만도 듣지 못했다”며 “한국은 아세안 국가들과 동등한 지위를 가져 왔고 그걸 것이다. 나는 강 장관이 언급한 불만의 근거가 뭔지 모르겠다”고 반박했다.

천금주 기자 juju79@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