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이 우리나라에 대해 반도체 수출품목 규제에 이어 화이트리스트(수출심사 우대국)에서 제외하는 등 경제보복을 노골화함에 따라 경기도 용인시가 이로 인한 관내 피해기업에 최대 100억원 규모의 특례보증을 지원하는 등 대책을 마련해 시행키로 했다.
용인시는 우선적으로 기업SOS지원센터에 ‘용인시 일본 수출규제 피해 신고센터’를 설치해 5일부터 운영한다고 2일 밝혔다.
시에 따르면 일본이 우리 정부의 외교적 해결 노력을 끝까지 거부해 사태가 장기화되고 이에 따른 관내 기업의 피해가 불가피할 것으로 예상된데 따른 조치로 관련 기업들의 피해를 접수하고 애로사항을 적극 해결하기로 했다.
또 실제 피해를 입은 기업에 대해서는 100억원의 중소기업운영자금으로 경기신용보증재단을 통해 최대 3년까지 특례보증을 지원키로 했다.
업체당 지원 한도는 3억원으로 1년 거치, 2년 분할상환 조건이며 연 2~2.5% 내외의 이자 차액을 보전해준다.
시는 이와 함께 일본의 수출규제로 타격을 받은 기업들을 지원하기 위해 해당업체에 지방세 징수를 유예하거나 신고기한 연장 세무조사 연기 등도 병행키로 했다.
시는 나아가 첨단소재나 장비 제조업체를 적극 육성하기로 했다.
시는 두 번째 공공산업단지인 처인구 이동읍 덕성2산단의 용지를 반도체를 비롯한 첨단 소재나 장비 제조업체에 우선 공급키로 했다면서 원삼면 일대에 조성하는 세계 최대의 용인반도체클러스터와 연계해 설계에서 완제품 생산까지 모두 관내에서 이뤄지는 반도체 중심도시를 만들 방침이라고 설명했다.
백군기 시장은 “일본이 수출규제 조치를 공식화한 만큼 우리도 단호한 대응을 할 수 밖에 없다”며 “관내 기업들이 오늘의 위기를 반전의 기회로 삼을 수 있도록 최대한의 지원을 아끼지 않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용인시 관내엔 현재 99개 반도체 관련 제조업체가 가동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용인=강희청 기자 kanghc@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