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 ‘화이트리스트’ 대비 긴급 대책회의… 90% 이상 日 의존

입력 2019-08-01 20:01

부산시가 일본의 화이트리스트 배제를 대비해 긴급 대책회의를 열었다. 부산지역 기업은 주요 수입품목의 대일본 의존도가 높다.

일본의 화이트리스트(백색국가 목록) 배제가 예상되는 가운데 주요 수입품목 대일본 의존도가 높은 부산지역 기업의 피해가 우려되고 있다.

이에 부산시는 1일 시청 소회의실에서 오거돈 시장 주재로 긴급 대책 회의를 개최했다. 시에 따르면 부산시의 연 10만달러이상 대일본 수입품목은 모두 703개다. 이 중 95개 품목이 90% 이상 일본에 의존하고 있다.

주요 품목은 기계류 및 전기기기(98.6%), 화학공업(97.6%), 차량·항공기·선박 및 관련품(96.6%) 등이다. 대일본 의존도가 50% 이상인 품목은 227개다.

시는 일본 화이트리스트 제외로 규제품목이 확대돼 피해가 현실화하면 정부의 ‘소재·부품·장비 경쟁력 강화 대책’과 추경예산편성 등 기조에 맞춰 시 차원 특별 지원대책을 마련해 즉시 시행할 계획이다.

또한 긴급대책으로 경제부시장을 단장으로 하는 수출규제 지원대책반을 ‘피해기업조사’ ‘긴급자금지원’ ‘산업육성지원’ ‘관광지원’ 4개 반으로 확대한다. 4개 반은 대일본 수입 의존도가 높은 기업 실태조사와 피해 상황 파악을 거쳐 지원 방안을 마련하게 된다.

시는 수출규제 관련 안내와 피해기업 상담 등을 돕는 ‘수출규제 피해기업 지원센터’를 활성화 하고, 수입선 다변화를 위해 지역 제조업 기업 수입국 변경을 위한 판매처 발굴 경비를 지원할 예정이다.

수출규제 피해기업에는 총 100억원 규모 긴급 특례보증도 시행된다. 시는 오사카 무역사무소에 ‘수출입 바로지원센터’를 운영하며 통상자문 코디네이터 활용 자문과 일본경제 동향 메일링 서비스 확대 등 지역기업을 현지에서 밀착 지원한다. 피해기업 지방세 부담경감을 위해 6개월에서 1년까지 지방세 기한연장, 징수유예, 세무조사 유예 등도 추진된다.

오 시장은 “한일 간 경제 문제가 첨예해지고 있는 만큼 정부 방향에 발맞춰 지방정부가 할 수 있는 일을 찾아야 한다”며 “핵심 부품소재산업 자립과 기술경쟁력 강화로 지역기업 피해가 최소화되도록 민관이 협력해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박세원 기자 one@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