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청래 전 의원이 “어차피 안 될 위인”이라며 황교안 자유한국당 대표를 맹공했다.
정 전 의원은 1일 페이스북에 ‘황교안의 심리상태’라는 제목의 글을 올렸다. 그는 이 글에서 “계파정치 책임 묻겠다” “친박에 빚진 거 없다”는 황 대표의 최근 발언을 인용하며 “그러다가 황교안한테 빚지지 않은 한국당 의원들에게 파묻히겠다”고 비판했다.
정 전 의원은 황 대표를 겨냥해 “경험없는 초짜 신입생이 신입생 환영회 분위기에 취해 좌충우돌하다가 인기가 떨어진다”며 “입에 거품문 장외투쟁 흉내내기와 공안독재 DNA, 친일프레임을 자초한 황교안호가 좌초하기 시작하자 익숙하지 않은 칼을 어설프게 휘두르려 한다”고 적었다. 정 전 의원은 마지막으로 “황교안, 어차피 안 될 위인이다”라며 글을 맺었다.
황 대표는 최근 떨어지는 당 지지율과 ‘도로 친박당 회귀’ 논란 등 당 안팎의 비판에 직면하고 있다. 주로 비박계와 복당파 의원들이 비판을 이어나가고 있다.
장제원 한국당 의원은 지난달 30일 페이스북에 올린 글에서 “변하지 않는 보수는 ‘수구’다. 작금의 정국에서 우리가 던진 이슈로 싸우고 있는 전선이 있느냐”며 “당이 선명하게 개혁노선을 표방해야 한다. 개혁노선에 걸맞은 라인업과 정책으로 과감하게 쇄신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한국당 싱크탱크인 여의도연구원 원장을 맡고 있는 김세연 의원도 CBS라디오에 출연해 “(‘도로 친박당’이란 비판과 관련해) 제가 말씀을 드리면 당내 분란의 원인을 제공한 것처럼 얘기될 수 있기 때문에 딱 잘라서 말씀드리지 않겠다”면서도 “딱히 부인하기는 어렵다. 여러 가지 우려되는 점들이 있다”고 말했다.
황 대표는 비박계에 경고하고 당 내 갈등을 봉합하려 하고 있다. 그는 1일 최고위원회의에서 “당을 망치는 계파적 발상과 이기적 행위에 대해서는 때가 되면 반드시 그 책임을 물을 것”이라면서도 “나라를 구해야 한다는 일치된 목표를 가진 모든 분들과 구존동이의 자세로 대통합을 이뤄나갈 것”이라고 했다.
박준규 인턴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