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와대는 한국을 화이트리스트에서 제외하는 일본의 각의 결정이 하루 앞으로 다가온 1일 분주하게 움직였다. 문재인 대통령은 관계부처 장관들과 회의를 하고 일본이 실제로 조치를 취할 경우에 대비한 대응안을 최종 점검했다. 문 대통령은 일본의 최종 결정 이후 입장을 낼 계획이지만 대국민담화는 검토하지 않는 것으로 전해졌다.
청와대 핵심 관계자는 이날 상황점검회의 이후 춘추관을 찾아 “통상적으로 이런 종류의 회의를 하면 1시간에서 1시간 30분 정도 진행하는데 오늘은 예상한 것보다도 오래 논의가 있었다”며 “그만큼 관계 부처 장관과 대통령 사이에도 상황을 점검할 것 많았다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회의에선 강경화 외교부 장관과 고노 다로(河野太郞) 일본 외무상의 한·일 양자회담이 성과없이 끝난 것에 대한 보고도 이뤄졌다고 한다. 청와대는 미국의 중재를 통한 한·일 문제의 외교적 해결 가능성도 열어두고 있지만 실현 가능성이 높지 않은 상황이다.
이날 회의는 2시간15분 동안 이어졌다. 청와대 관계자는 “정부는 일본의 동향을 파악하며 다양한 시나리오에 맞춘 대응안을 준비해 왔다”며 “실효성 있는 안을 최종 점검하고 부처별로 준비 상황을 공유하는 자리였다”고 했다. 실제로 회의 분위기는 무거웠고, 문 대통령이 장관들에게 디테일한 부분까지 질문을 했다고 한다.
앞서 청와대는 지난달 4일 일본이 수출 보복 조치를 취한 이후 매일 오후 1시30분 국정기획상황실 주재로 각 부서 선임행정관급 실무회의를 진행해왔다. 또 비서관급 이상으로 구성된 태스크포스(TF)를 꾸려 수시로 일본의 동향을 점검했다. 청와대 관계자는 “정부는 시시각각 변하는 상황에 어떻게 대처하는 것이 최선일지 계속 논의 중이다. 매일같이 보고와 회의가 이어지고 있다”며 “다만 정부의 전략이 노출되면 안 되기 때문에 구체적인 대응안은 말할 수 없다”고 선을 그었다.
문 대통령은 2일 일본이 한국을 화이트리스트에서 제외하면 메시지를 낼 전망이다. 청와대 관계자는 “무언가 결정났을 땐 어떤 방식이 됐든 대통령의 말씀이 있지 않을까 생각한다”고 설명했다.
일각에선 문 대통령이 대국민담화를 할 수 있다는 전망도 나왔지만 청와대는 검토하지 않고 있다. 일본이 화이트리스트에서 한국을 제외하더라도 최종 발효까지는 적어도 20일 이상이 소요되기 때문에 일단 상황을 지켜본다는 것이다. 청와대는 다만 2일 각의 이후 대변인 명의로 서면을 내거나 오는 5일 수석보좌관 회의를 통해 일본에 강력 대응하겠다는 입장을 밝힐 계획이다.
박세환 기자 foryou@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