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시 원도심 앞바다에 대형 크루즈선 부두와 어항을 개발하는 제주신항만 건설 계획이 확정됐다.
1일 제주도에 따르면 해양수산부는 제2차 신항만건설 기본계획(2019∼2040)을 심의·확정하고 제주신항만 개발사업을 포함한 항만 기본계획을 2일 지정·고시할 예정이다.
해수부는 2040년까지 총 2조8662억원을 들여 제주신항 개발을 진행한다.
제주 신항만 건설은 초대형 크루즈와 여객부두 일원화를 통해 연간 400만명의 관광객을 수용하는 해양관광 인프라 구축을 목표로 한다.
이는 해양관광지 제주의 관광 잠재력을 배가하고, 기항 크루즈 수요급증에 대비한 동북아의 고품격·친환경 크루즈 모항육성을 목적으로 추진된다.
해수부는 제주시 삼도동·건입동·용담동 일대 앞바다와 육상 연안 항만(45만8000㎡) 부지 및 배후(82만2000㎡) 부지 128만㎡에 대형 항만을 건설하기로 했다.
원도심 앞바다의 외곽시설은 방파제 2.82㎞, 호안 2.09㎞로 조성한다. 연안 육상 배후부지에는 쇼핑 시설 등을 조성한다.
개발방향은 크게 3가지로 해양관광 인프라 확충, 해양관광 클러스터화, 항만과 도시 간 상생전략을 통한 개발 등이다.
해양관광 인프라 확충은 대형 크루즈부두(22만GT급 등) 4선석 및 국내·국제여객 부두 건설 9선석 등 여객부두 특화사업이다.
해양관광 클러스터화는 크루즈 및 국내 여객부두 인접 배후부지를 확보해 상업·문화·관광 복합지구로 개발하는 것을 골자로 한다.
항만과 도시 간 상생전략을 통한 개발은 제주신항과 내항 재개발을 연계한 수림대(Eco-Zone)를 조성, 미세먼지 저감과 소음·공해예방 및 배후도시와의 공존을 추구한다.
‘Eco-Zone’은 도심과 근접한 배후단지 구역에 조성하는 녹지사업을 의미한다.
도는 제주신항 개발로 6조3768억원의 생산유발 효과, 4조9666억원의 부가가치유발 효과, 2만9158명의 취업 유발효과가 발생할 것으로 기대했다.
제주신항이 지정·고시돼 사업의 법적근거가 마련됨에 따라 도는 앞으로 크루즈 여객 유치, 예비타당성조사 통과, 국비확보, 환경영향평가 및 어업권 보상 추진과정에서 지역주민과의 협력 도모 등을 순차적으로 진행할 계획이다.
제주신항 개발은 앞으로 예비타당성조사 시행과 기본 및 실시설계, 환경영향평가, 어업보상 등의 절차가 남아있다.
조동근 도 해양수산국장은 “제주도민의 결집된 역량을 바탕으로 크루즈 여객유치에 전력을 다하고, 중앙정부와 긴밀한 협의과정을 통해 사업을 성공적으로 추진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제주=주미령 기자 lalijoo@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