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지역 환경단체들이 공동 성명을 통해 “인천 수돗물 정상화를 위해서는 민관의 상호이해와 소통협력 방안이 함께 모색돼야 한다”는 입장을 밝혔다.
가톨릭환경연대, 인천녹색연합, 인천환경운동연합은 1일 오전 11시 발표한 공동 성명에서 “7월 30일 인천시는 수돗물 설명회를 개최하고 ‘먹는 물 적합’이라고 발표했다. 5월 30일, 붉은수돗물 사태 발생 꼭 두 달 만이다. 이제는 논란 확대가 아닌 깨끗한 수돗물을 위해 모두가 지혜를 모아야 할 때이다.”라고 주장했다.
환경단체들은 같은 성명에서 “8월부터는 붉은 수돗물 재발 방지 차원을 넘어 인천수돗물이 가장 안전하고 깨끗한 수돗물이 되기 위해 협력해야 한다”면서 “그러기 위해서는 붉은 수돗물 사태를 차분하고 꼼꼼하게 되짚어보고 피해보상, 관로 정비계획만이 아닌 민관의 상호이해와 소통협력 방안을 함께 모색해야 한다.”고 요구했다.
이들은 “인천의 6월과 7월은 온통 붉은 수돗물이었다. 환경부와 인천시의 발표 등 지금까지 확인된 바에 따르면 이번 붉은 수돗물 사태의 직접적인 원인은 수계전환과 역류이다. 수계전환과 역류로 인해 붉은 수돗물 발생을 충분히 예상할 수 있었음에도 안일하게, 또 사전 안내 없이 진행하다가 붉은 수돗물 사태를 자초했다. 더욱 큰 문제는 초기 대응 미숙으로 시민이해는커녕 행정과 수돗물에 대한 불신만 증폭시켰다는 점이다.”라고 따졌다.
이들은 이어 “인천시가 설명회에서 밝힌 향후 계획에서처럼 앞으로도 정비 등을 위한 단수나 수계전환이 불가피하다. 충분한 사전검토와 시민 논의와 이해가 필요하고 행정과 시민들 각각의 대응 매뉴얼을 꼼꼼하게 작성하고 숙지해야 한다. 이와 함께 상수도사업본부의 인적쇄신과 전문가 양성, 체계적이고 과학적인 모니터링, 폭넓은 시민참여 등의 보완점도 더욱 구체적으로 제시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환경단체들은 “시간이 오래 걸리더라도 외양간을 제대로 고쳐야 신뢰를 쌓을 수 있다. 수돗물에 대한 불신, 어제 오늘의 일이 아니고 인천만의 문제도 아니다. 그러나 대체 방안이 마땅하지 않은 도시에서 수돗물은 포기할 수 없는 공공재이다. 국가가 공급하는 수돗물은 가장 안전한, 믿을 수 있는 생활용수이고 먹는 물이어야 한다. 시민들의 눈높이가 높아지는 만큼 수돗물 기준을 현재보다 강화된 기준으로 적용해야 한다. 특히 탁도와 냄새 등 시민들이 민감할 수 있는 항목들에 대한 세심한 접근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 행정은 투명하게, 시민들은 성숙하게, 시민단체와 전문가들은 이해관계자가 아닌 과학적이고 객관적인 내용의 제공자로 함께 협력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특히 상수도 혁신위원회와 관련, “형식적이거나 어려운 상황을 모면하기 위한 임시방편이어서는 안된다”고 역설했다.
이들은 “위원회를 구성해서 회의를 진행하고 몇몇 전문가들의 자문을 받는다고 시민들의 불신이 해소되지 않는만큼 혁신위원회가 촘촘하고 내실있는 회의 진행, 논의내용과 회의결과, 구체적인 향후 계획 등이 시민들에게 투명하게 공개돼야 한다”며 “전문가들과 시민단체들의 참여를 확대하고 시민들의 의견 개진 기회도 충분히 보장되어야 한다”고 언급했다.
이들은 마지막으로 “붉은 수돗물 사태는 새로운 지역공동체-맘 카페 등 다양한 주민자치의 가능성을 확인시켰다”며 민관협치의 확대를 공식 요청했다.
인천=정창교 기자 jcgyo@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