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의 경제보복과 독도 영유권 억지 주장에 대한 반발이 강원도 원주지역에서 전방위로 확산하고 있다. 원주시 사회단체협의회는 31일 오전 원주의료원 사거리에서 ‘일본 수출규제 및 독도 영유권 억지 주장 범시민 규탄대회’를 개최했다. 이날 규탄대회는 원주시 사회단체 회원과 시민 등 500여명이 참가해 일본 정부의 부당한 수출 규제 조치와 독도 영유권 주장 철회를 촉구했다.
원주시 사회단체협의회 장각중 협의회장은 “이번 규탄대회를 시작으로 바르게살기운동원주시협의회, 원주시 이·통장연합회, 원주시 주민자치위원장협의회, 원주시 새마을회 등 10개 사회단체가 연쇄적으로 일본 제품 불매운동 캠페인을 전개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앞서 원주시도 지난 25일 도내 지자체 중 처음으로 일본 제품 보이콧을 선언했다. 원주시는 시에서 발주하는 구매품목 중 일본산 제품 구매를 중단키로 했다. 또한 시가 발주하는 공사계약의 경우 설계 단계에서부터 일본산 자재들이 배제되도록 관리 감독을 철저히 하고, 아파트 등 지역 내 일반 공사에 대해서도 일본산 자재 배제를 권고키로 했다. 모든 공무원의 일본 출장과 연수, 교육 등도 무기한 중단키로 했다. 원창묵 원주시장은 “공공부문 일본산 제품 구매 중단과 관련 조례·규정 제정을 검토하는 등 강력 대응에 나서기로 했다”고 설명했다.
원주문화재단도 올 9월 열리는 원주 다이내믹 페스티벌에서 일본팀 참가 신청을 거절하는 방안을 검토하기로 했다. 이와 함께 지역 94개 치과병원장으로 구성된 원주지구 치과의사회는 일본 제품 불매운동을 결의했다. 치과의사회는 임플란트 엔진과 핸드 피스 등 의존도가 높은 일본산 치과 재료 구매를 제한하고 국산 및 기타 해외 대체 제품 목록을 공유키로 했다.
한편 강원도개발공사도 도내 공기업 중 처음으로 일본 불매운동에 동참하기로 했다. 도개발공사는 이날 오전 공사 대회의실에서 보이콧 재팬 동참 결의대회를 갖고, 일본제품 사용하지 않기, 일본 수입식품 먹지 않기, 일본 여행 가지 않기, 이번 사태가 해결될 때까지 불매운동 지속하기 등을 약속했다.
도개발공사는 공사 물품 구매 및 알펜시아리조트 운영정책에 일본제품 불매운동을 계획하는 등 후속 조치에 나설 계획이다. 김길수 도개발공사 사장은 “일본의 수출규제 취소 및 과거사에 대한 진심 어린 사과 전까지는 공사 전 사업 영역에 있어 일본제품 불매운동을 적극 실천․지속 하겠다”고 밝혔다.
원주=서승진 기자 sjseo@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