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국 전 청와대 민정수석이 연일 일본 경제 보복 사태에 대한 글을 올리며 ‘SNS 항일전’을 이어가고 있다.
조 전 수석은 31일 오전 페이스북에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 고(故) 김복동 할머니의 삶을 그린 다큐멘터리 영화 ‘김복동’을 본 소감을 밝혔다.
조 전 수석은 “고 김복동 할머니는 공장에 가는 줄 알고 배를 탔더니 중국 광동의 위안소에 배치된 후, 그때부터 시작된 끔찍한 고통을 딛고 인권·평화운동가로 우뚝 서신 분”이라며 “고인은 위안부 문제의 살아있는 증거”라고 강조했다.
이어 2015년 12월 28일 박근혜 정부의 한‧일 위안부 합의에 대해서는 “일방적”이었다고 비판했다. 그는 “피해자의 동의 없는 정부 간의 합의는 2차 가해”라며 “2015년 합의에는 우리 귀에 익은 ‘최종적·불가역적 해결’이란 용어가 들어 있다. 한국 측이 요구한 ‘일본 총리의 공식 사죄’는 탈락됐다. 협상을 잘못한 것”이라고 지적했다.
조 전 수석은 “촛불혁명 후 화해치유재단이 해산된 것은 필연적인 일”이라고 주장했다.
조 전 수석은 “지금도 한국의 외교 전문가 중에는 화해치유재단 해산은 정부 간의 합의 파기이므로 잘못된 것이라고 말하는 사람들이 있다”며 “이들은 2012년 및 2018년 한국 강제징용 대법원판결이 공연히 한일관계에 분란을 일으켰다고 불만을 표하는 사람들이기도 하다”고 했다.
이어 “현재 진행되고 있는 한일 ‘경제전쟁’에서 한국 정부 및 국민의 대응이 문제라고 ‘평론’하는 사람들이기도 하다”며 “부지불식간에 일본 정부의 논리에 침윤(浸潤)됐거나, 객관의 이름 아래 국제인권법의 근본정신을 몰각한 것이다. ‘전문가’라는 호칭, 부끄러운 줄 알아야 한다”고 비판했다.
조 전 수석은 마지막으로 “위안부 모집에 강제성 없었다, 일본 정부가 책임질 일은 아니다 등의 헛소리가 국내외에서 들리지 않도록 제작사에서 영어, 일어 등 외국어 자막을 넣어 전 세계에 배급할 수 있길 희망한다”고 글을 맺었다.
조 전 수석은 전날에도 페이스북에 일본 우익 세력을 비판한 다큐멘터리 영화 ‘주전장’을 본 감상평을 올리며 한국 보수 정치인과 언론을 향한 비판의 목소리를 높였다. 그는 “영화는 위안부 문제에 대한 일본 정부와 극우세력의 주장을 던져놓고 그 문제점을 지적했다”며 “다수의 한국인은 위안부 문제의 논점을 다 안다고 생각하기 십상이다. 그런 분에게 이 영화는 ‘지피지기’가 필요함을 알려줄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일본 식민지배와 강제동원이 불법임을 선언한 2012년 및 2018년 한국 대법원의 판결 의의는 매우 중요하다”며 “2012년, 2018년의 의미를 몰각(沒却)·부정하면 헌법 위반자가 된다. 대법원판결을 매도하며 ‘경제전쟁’ 도발국의 편을 들어준 일부 정치인과 언론은 각성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강문정 객원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