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무소각장 활용비법은?’…광주시 복합문화시설로 전환 추진

입력 2019-07-31 11:34 수정 2019-07-31 14:15

‘문 닫은 상무소각장 활용방안을 찾아라’
광주시가 지난 2016년 12월 폐쇄된 상무소각장을 복합문화시설로 전환하기 위해 팔을 걷어붙였다.
시는 “시의회와 민·관·전문가 합동워크숍을 갖고 폐산업시설 우수활용 사례인 부천아트벙커 B39와 마포 상암 문화비축기지를 견학했다”고 31일 밝혔다.
지난해 4월 문을 연 부천아트벙커 B39 역시 원래 소각장이던 건물이다. 부천시는 혐의시설이던 소각장 건물을 개보수해 문화시설로 탈바꿈시켰다. 부천의 영어 이니셜 첫 글자 B와 쓰레기를 쌓아두던 저장고 높이 39m에서 이름을 따왔다.
거대한 원형 석유탱크 7개를 문화예술 공연과 다양한 전시공간으로 바꾼 상암 문화비축기지는 2017년 9월 이색적 문화시설로 개관한 이후 서커스 공연과 도깨비 야시장 등으로 시민들의 발길이 해마다 늘고 있다.
상무소각장의 구체적 활용방안을 모색하기 위한 합동워크숍과 견학에는 상무소각장 인근 아파트 단지 대표 등으로 구성된 아파트연합회와 주민지원협의체, 치평동 주민자치위, 건축·문화 전문가 등 55명이 참석했다.
시는 도심 중심부에 들어선 소각시설의 폐쇄 이후 2년6개월여 동안 방치해온 상무소각장에 시립도서관을 포함한 복합문화시설을 조성한다는 기본계획을 다듬고 있다. 1년여에 걸친 집단시위 등 우여곡절을 거쳐 가동을 시작한 2001년부터 폐쇄가 결정된 2016년까지 하루 300t이상 생활쓰레기 처리해온 소각장을 꺼림직한 혐오시설에서 삶의 질을 높이는 문화시설로 바꿔 활용한다는 것이다. 상무소각장은 가동 이후에도 매연과 악취 등으로 집단민원이 끊이지 않았다.
하지만 시는 ‘광주 대표도서관’ 건립을 위한 행정절차를 제외하고는 아직 뚜렷한 활용방안을 마련하지 못한 상황이다. 그동안 장기 미집행 된 상무소각장 기금 60억여 원의 사용방안도 마찬가지다. 상무소각장 기금은 인근 아파트 주민들의 반대로 한동안 문을 열지 못하던 소각장 가동 이후 분진과 냄새 등 영향권에서 생활하던 주민들의 복리증진 차원에서 반입 폐기물 수수료 10% 등을 적립해 놓은 예산이다.
이에 따라 시는 민선 7기 이후 상무소각장의 활용가치에 대한 정서적 공감대를 넓히기 위해 동분서주하고 있다. 우수사례 견학 등과 더불어 공청회 등을 통해 상무지구 주민과 시민들의 여론을 폭넓게 수렴할 방침이다. 이를 통해 향후 주민 간 갈등과 마찰을 최소화하고 상무지구 외의 시민과 관광객들도 즐겨찾는 문화명소로 육성한다는 구상이다.
시는 소각장 폐쇄 이전 ‘소각장 폐쇄 후 활용방안 타당성조사·기본계획 용역’을 통해 3만1871㎡의 소각장 부지에 시립도서관 신축을 골자로 한 활용방안을 마련한 바 있다. 소각로가 설치된 공장동은 건물의 특성을 살려 복합문화시설을 설치하는 ‘상무복합커뮤니티타운 조성계획’이다. 시는 상무소각장 기금도 총 9088세대가 사는 주변 1.3㎢ 이내 아파트 14개 단지의 노후승강기 교체와 외벽도색, 지하주차장 보수 등에 투입하기로 했다. 시는 현재 소각장 근접아파트 3곳과 비교적 거리가 먼 아파트 11곳의 기금분배 비율을 65대35로 하는 데 대한 원칙적 합의가 이뤄졌다고 설명했다.
이용섭 광주시장은 “상무소각장은 장기적 관점에서 광주발전을 가로막는다는 의견이 많아 사용연한에 상관없이 폐쇄됐다”며 “건축구조상 독창적 형태와 공간, 구조, 설비 등을 갖춘 데다 접근성도 뛰어나 문화중심도시 광주의 관광명소이자 문화예술인들의 사랑방이 될 복합문화시설로 활용하기에 충분하다”고 말했다.

광주=장선욱 기자 swjang@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