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시는 팔공산 구름다리(조감도) 설치 예산안이 대구시의회를 통과함에 따라 중단됐던 구름다리 설치 사업을 재개한다고 31일 밝혔다. 환경파괴와 관광자원화를 놓고 갈등을 빚었던 사안이 합의점 없이 재추진됨에 따라 논란이 다시 불붙을 것으로 예상된다.
대구시의회는 최근 제268회 임시회에서 대구시가 제2회 추가경정예산으로 올린 구름다리 설치 예산 25억원(시비)을 통과시켰다. 대구시는 이미 올해 본예산에 구름다리 설치 사업비 140억원(국·시비 각 70억원) 중 국비 35억원을 편성했다. 대구시는 지난해 말 중단됐던 기본 및 실시설계용역을 다시 시작해 올해 안에 마무리하고 내년 4월 착공에 들어갈 방침이다.
앞서 대구시는 팔공산 케이블카 정상 전망대(신림봉·해발 820m)에서 낙타봉(해발 917m)까지 길이 320m, 폭 2m의 구름다리 설치하겠다는 계획을 발표했다. 이를 위해 2017년 팔공산 구름다리 설치를 위해 기본 및 실시설계용역을 시작했지만 환경파괴를 주장하는 시민단체 등의 거센 반발에 부딪혀 지난해 말 사업을 일시 중단했다.
하지만 대구시는 지난 5월 이례적으로 민감한 사안이었던 구름다리 설치를 주제로 제16회 대구시민원탁회의를 열었다. 당시 구름다리 건설에 반대하는 시민사회단체 등은 대구시가 이미 결론을 정해놓고 회의를 진행한다며 원탁회의에 불참했었다. 반대 측 참석 없이 열린 회의가 끝나고 진행된 투표에서 구름다리 건설 찬성 60.7%, 반대 31.5%, 유보 7.7% 결과가 나왔다. 이 때문에 대구시가 구름다리 건설을 재추진하기 위해 원탁회의를 열었다는 비판이 일기도 했다. 청와대 국민청원 게시판에 팔공산 구름다리 건설에 반대한다는 내용의 시민 청원이 오르기도 했다.
팔공산 구름다리 설치 재추진으로 환경파괴 논란이 다시 거세질 것으로 예상된다. 대구경실련 등 지역 시민단체들은 “이미 케이블카가 있기 때문에 대구시가 추진하는 구름다리는 경제적으로 효과가 없고 팔공산 경관과 자연환경만 훼손할 것”이라며 반발하고 있다.
대구=최일영 기자 mc102@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