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영민 대통령 비서실장은 30일 “문재인 정부가 분배는 중시하면서 성장은 소홀히 한다고 하는데 그렇지 않다”며 “국민 1인당 GDP는 연평균 1882달러 증가했다”고 강조했다.
노 실장은 이날 자신의 페이스북에 “이명박 정부 258달러, 박근혜 정부 814달러와 비교하면 하늘과 땅 차이”라며 이렇게 남겼다.
그는 “IMF 외환위기 극복에 주력했던 김대중 정부를 포함해 노무현 정부, 문재인 정부에 이르기까지 진보정부 12년간 1인당 GDP 총 증가액은 1만4692 였다”며 “반면 김영삼, 이명박, 박근혜로 이어지는 보수정부 14년 동안엔 총 증가액이 8679 달러에 그쳤다”고 강조했다. 이어 “성장과 분배의 선순환 문재인 정부는 더불어 잘사는 ‘사람중심 경제’를 지향한다”고 덧붙였다.
그러나 노 실장이 올린 그래프가 왜곡됐다는 지적도 나온다. 이명박정부 당시 1인당 GDP 증가액은 258달러로, 우측에 표시된 500달러의 중간까지 막대가 올라와야 했지만 이에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그려졌다. 박근혜정부의 경우에도 814달러를 기록해 그래프가 1000달러에 근접하도록 그려져야 하는데 오히려 500달러에 가깝도록 표현됐다. 3차원 그래프인점을 감안해도 진보 정부의 성과를 강조하기 위해 그래프를 배치한 것 아니냐는 지적이 나온다.
청와대는 지난해 8월에도 공식 SNS에 잘못된 통계 그래프를 올렸다가 물의를 빚었다. 당시 선 그래프에서 2.1%에 그친 2017년 3분기 가계소득 증가율을 2.8%였던 2015년보다 더 높게 그린 것이다. 당시 청와대는 “단순 실수”였다고 해명한 바 있다.
박세환 기자 foryou@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