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의 수출규제가 장기화 조짐을 보이고 우리나라의 ‘화이트 리스트’ 제외 가능성마저 가시화됨에 따라 대전·충남 지역 정관계(政官界)가 대응책 마련에 나섰다.
충남도는 30일 공주시에 위치한 솔브레인에서 관련 업체 관계자 등 30여명이 참석한 가운데 ‘경제 상황판단 및 현장 간담회’를 개최했다.
양승조 충남도지사와 관계 실·국장 등이 참석한 이날 간담회는 지난 1일 일본의 수출규제 강화 발표, 화이트 리스트 제외 우려에 따른 선제적 대응방안을 논의하기 위해 마련됐다.
간담회는 반도체·디스플레이산업의 동향 및 전망 등 상황 분석과 함께 관련 전문가, 업계대표 등의 의견 청취가 진행됐다.
업계 대표들은 이 자리에서 미국과 중국의 무역 갈등뿐 아니라 일본의 수출규제때문에 발생가능한 업계의 다양한 피해 양상에 대해 전했다.
이에 따라 신규공장과 설비 증설, 부지매입, 3물류창고 증설 등에 대한 인허가 일정을 단축해 줄 것을 도에 요청했다.
양승조 지사는 “이번 수출규제를 계기로 일본에 대한 의존도를 낮추고, 소재·부품·장비산업에 대한 경쟁력 강화와 국산화에 역량을 집중해야 한다”며 “중앙정부의 대응에 긴밀히 협력하고 업계 동향에도 귀 기울이겠다”고 말했다.
반도체·디스플레이 산업은 충남지역 수출의 60%를 담당하는 지역 대표산업이다.
이날 간담회 개최지인 솔브레인은 일본산 불화수소를 수입·정제해 고순도 불화수소를 생산하는 기업으로, 국내에서는 유일하게 저순도 불산을 가공해 정제할 수 있는 기술을 보유하고 있다.
그러나 최근 반도체 메모리 가격의 단가하락·수요 감소에 이어 일본의 수출규제까지 겹치며 어려움이 가중될 처지에 놓였다.
양 지사는 “기술력을 갖춘 우리 기업들이 소재·부품·장비 등을 개발할 수 있도록 효과적인 지원방안 여건을 마련하겠다”며 “대기업과의 협력을 높일 새로운 산업 생태계 조성과 함께 중소기업육성자금을 지원하겠다”고 덧붙였다.
자유한국당 대전시당은 일본의 수출규제 때문에 피해를 받는 업체들을 위한 ‘일본 수출규제 피해 신고센터’를 설치했다.
당 사무실에 신고센터를 설치한 대전시당은 피해 업체들의 방문접수와 전화·인터넷·이메일 등으로 피해 상황을 접수할 계획이다.
접수된 내용에 대해서는 중앙당과의 협의를 거쳐 피해 업체에 예산·정책적 지원 등을 제공할 예정이다.
대전시당 관계자는 “일본 정부의 수출 규제 규탄과 함께 규제 철회를 촉구하고, 정부의 외교적 해결을 주문할 것”이라고 했다.
홍성=전희진 기자 heeji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