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콘텐츠 산업의 성장세가 꾸준하다. 미래 먹거리로서 앞으로도 각광받을 전망이다.
29일 문화체육관광부(장관 박양우)와 한국콘텐츠진흥원(원장 김영준)이 발간한 ‘2018년 하반기 및 연간 콘텐츠산업 동향분석보고서’에 따르면 지난해 국내 콘텐츠산업 매출액은 전년대비 5.2% 증가한 119조1000억원으로 집계됐다. 콘텐츠 산업은 지난 5년간(2014~2018) 연평균 5.8%씩 꾸준히 성장했는데, 지난해 국내 경제 성장률이 전년 대비 2.7% 증가했고 지난 5년간(2013~2017) 전 산업 매출액이 연평균 3.3% 성장한 것과 비교하면 주목할 만한 성장세다.
보고서에 따르면 2018년도 국내 콘텐츠산업 매출액은 전년대비 5.2% 증가한 119조1000억원으로 집계되었다. 분야별로 보면 애니메이션을 제외한 전 산업 부문에서 매출액이 증가했다. 음악(11.9%), 지식정보(9.7%), 만화(7.0%) 산업이 높은 증가세를 보였다. 매출액 규모로 보면 출판산업이 21조485억 원으로 가장 컸으며, 방송(19조1761억 원), 광고(17조2187억 원), 지식정보(16조5030억 원), 게임(13조9335억 원) 등이 뒤를 이었다.
2018년도 국내 콘텐츠산업 수출액은 전년 대비 7억4000만 달러 증가한 약 95억5000만 달러로 집계됐다. 수출액은 전 산업에서 증가하였으며 특히 출판, 만화, 음악, 애니메이션, 방송, 캐릭터 산업 등이 전년대비 10% 이상 증가하였다.
게임산업은 여전히 수출 부문에서 가장 큰 비중(66.9%)을 차지한 것으로 나타났다. 수출액 규모는 게임산업이 63억9161만 달러로 가장 컸으며, 그 다음으로 캐릭터(7억3334만 달러), 지식정보(6억4410만 달러), 음악(5억6417만 달러)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콘텐츠산업 수출액은 5년간(’14년~’18년) 연평균 16.0%의 높은 성장률을 보였다.
한편 이번 보고서는 콘텐츠 사업체 2413개에 대한 실태조사 및 콘텐츠 상장사 118개의 자료를 분석한 결과물로, 통계청과 한국은행 등에서 제공하는 거시통계 데이터를 참고해 작성됐다.
그래픽·표=한국콘텐츠진흥원 제공
이다니엘 기자 dne@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