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부가 등록금으로 강의용 건물을 짓고 이를 종교재단에 싸게 넘긴 백석예술대를 종합감사한다. 교육부 과장급 간부가 이 과정에 연루된 의혹도 함께 들여다보기로 했다. 해당 간부는 교육부 퇴임 이후 백석예술대 교수로 채용됐다가 문제가 불거진 뒤 사임한 것으로 전해져 ‘교피아’(교육부+마피아) 논란이 불거질지 주목된다.
교육부는 다음 달 12일부터 백석대와 백석예술대, 백석문화대를 종합감사한다고 29일 밝혔다. 종합감사는 법인, 입시·학사, 인사·채용, 회계, 시설 등 대학운영 전반에 걸쳐 진행되는 가장 강도 높은 감사 방식이다. 교육부는 이 세 대학에 2주 동안 감사인력 27명을 투입키로 했다. 이들 3개 대학은 설립자(장종현 총장)는 같지만 학교법인은 2개다. 학교법인 백석대학교가 백석대(4년제)와 백석문화대(전문대)를 운영하고, 서울백석학원이 백석예술대(평생교육법상 전공대학)를 운영한다.
의혹의 핵심은 백석예술대가 등록금으로 모은 270억원을 투입해 2014년 서울 서초구에 세운 강의용 건물의 거래 과정이다. 백석예술대는 2016년 말 이 건물을 백석대에 시세보다 80억원 가량 싼 가격에 넘겼다. 백석대는 이듬해 초 해당 건물을 다시 종교재단에 매각했다. 서초구 건물은 현재 종교재단의 본부로 쓰이고 있다. 수업을 위해 만들어진 건물이 2년여만에 종교재단용 건물로 둔갑한 것이다.
교육부에 따르면 당시 교육부 담당자인 사립대학제도과장 A씨는 이 과정을 모두 허가해줬다. 그는 지난해 8월 교육부를 퇴직했으며 최근까지 백석예술대 교수로 재직했다. A씨는 당시 건물 거래가 적법하게 이뤄졌고 유착 의혹은 사실이 아니라고 주장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교육부 관계자는 “(교육부 간부 연루 여부는) 종합감사를 해봐야 안다”라며 교피아로 단정하지 말라고 당부했다. 그러나 교육부가 종합감사에 착수한다는 보도자료를 배포하고, 교육부 간부가 연루된 의혹이 있다는 내용을 적시한 점은 상당히 이례적이다.
이도경 기자 yido@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