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27일 밤 북방한계선(NLL)을 넘어온 북한 소형 목선이 29일 북한으로 인계됐다. 지역합동정보조사 결과, 항로착오로 NLL을 월선한 것으로 파악됐다. 소형 목선을 타고온 남성 3명 모두 송환을 원했고, 대공용의점도 발견되지 않아 이날 북한으로 돌려보내졌다.
합동참모본부 관계자는 이날 “조사 내용들을 종합한 결과 북한 목선은 항로착오로 NLL을 통과해 남하한 걸로 판단된다”며 “침투 의도와 관련한 사항은 발견되지 않았고, 선원들 진술과 전원 송환 요청, 선박 검사 결과 등을 종합적으로 검토한 결과 대공혐의점이 없는 걸로 판단됐다”고 밝혔다. 북한 소형 목선은 이날 오후 3시 31분쯤 해양경찰 경비정의 예인 하에 NLL 인근에서 북측 경비정으로 인계됐다. 선원 3명도 함께 북측으로 돌아갔다.
앞서 이 소형 목선은 지난 27일 오후 10시15분쯤 NLL 북쪽 5.5㎞ 해상에서 우리 육군 해안레이더에 포착됐고, 같은 날 오후 11시21분쯤 NLL을 월선했다. 즉각 우리 군이 출동, 선원 및 목선을 양양 지역 군함으로 이동시켰다. 배에 탄 선원 3명은 귀순의사가 없었고, 항로착오라고 밝혔지만 정황상 석연치 않은 부분이 있어 관계기관에서 조사에 나섰다.
지역합동정보조사 결과에 따르면 오징어 조업에 나선 이 배는 위성항법시스템(GPS) 장비가 설치되지 않아 항로착오로 NLL을 월선했다. 이 배는 지난 25일 오전 1시쯤 강원도 통천항에서 출항, 동쪽으로 157㎞ 정도를 이동해 오징어 조업에 나섰다.
이후 기상악화 소식을듣고 27일 오전 8시쯤 복귀에 나섰다. 같은 날 오후 10시쯤 연안의 불빛 형태를 보고 배의 선장은 원산항 인근으로 착각했고, 통천항으로 이동하기 위해 항로를 남쪽으로 이동하면 된다고 생각했다. 이 같은 항로착오로 NLL을 넘어오게 됐다. 또 목선에서는 실제 조업 흔적이 확인됐고, 침투를 의심할만한 장비도 발견되지 않았다.
선원들은 마스트에 달려 있던 흰색 천은 특별한 의미가 있는 것이 아니라, 대형 배와의 충돌을 피하기 위해 통상적으로 걸어뒀다고 말했다.
선원들은 또 최초 발견시 우리 측 해군 고속정이 전등으로 신호했을 때 동일한 패턴으로 응답한 이유에 대해서는 북한 원산항 인근 위수지역을 침범, 북한군 단속정이 나가라는 표시를 한 했다고 판단해 이동하겠다는 의도였다고 설명했다.
배가 북한군 부업선(부업으로 고기를 잡는 배)이고, 탑승자 3명 중 1명이 군복을 입었지만 군인은 없는 것으로 확인됐다. 군복을 입은 1명의 경우 아내가 군복 재질 옷감으로 맞춰준 옷을 입은 것이었다.
3명 모두의 송환 의사가 분명하고, 대공용의점이 없다고 판단한 우리 정부는 북한 측에 이를 통보했다. 이후 신속하게 송환 절차에 돌입, 이날 사건을 일단락 지었다.
이상헌 기자 kmpaper@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