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의 대(對)한국 수출규제 조치 대응을 위한 초당적 비상협력기구인 ‘일본 수출규제 대책 민관정 협의회’가 출범한다. 여야 5당을 비롯해 정부, 민간 경제단체 및 노동단체가 참여하는 범국가적 기구다.
더불어민주당 윤호중·자유한국당 박맹우·바른미래당 임재훈·민주평화당 김광수·정의당 권태홍 사무총장은 29일 이런 내용을 합의해 발표했다. 협의회 첫 회의는 31일 국회에서 열린다.
정부에서는 홍남기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 강경화 외교부 장관, 성윤모 산업통상자원부 장관, 김상조 청와대 정책실장이 참여하기로 했다. 정치권에서는 각 당 정책위의장 또는 관련 대책위원장 가운데 5당이 추천하는 5명이 동참한다.
민간에서는 대한상공회의소 회장, 한국무역협회 회장, 한국경영자총협회 회장, 중소기업협동조합중앙회 회장, 한국중견기업연합회 회장 및 한국노동조합총연맹 위원장, 민주노동조합총연맹 위원장이 참여할 예정이다. 사무총장들은 “민간 참여 확대 문제는 추가로 논의한다”고 말했다.
윤 사무총장은 전국경제인연합회가 제외된 데 대해 “전경련의 경우 최근 사정을 확인해본 결과 회원사가 하나도 없는 상태라 경제단체의 기능을 하고 있지 않다고 생각해 포함하지 않았다”고 말했다.
이 같은 대규모 민관정 협의회는 지난 18일 문재인 대통령과 여야 5당 대표가 청와대 회동에서 일본의 경제보복에 대응할 비상협력기구 설치에 합의한 데 따른 것이다.
윤 사무총장은 “정부가 일본 조치에 대처해 나가는데 초당적으로, 범국민적으로, 범국가적으로 힘을 모아나가는 그런 기구”라고 설명했다. 한국당 박맹우 사무총장은 “협의회가 출범하면 일본 수출규제에 대응해 부품 국산화 관련 규제를 푸는 데 속도를 내 큰 도움이 될 것으로 생각한다”고 말했다.
지호일 기자 blue51@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