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 정부가 해상자위대의 호위함 등에 탑재할 대형 무인 헬기 20기를 도입할 계획이라고 일본 요미우리신문이 28일 보도했다.
요미우리는 복수의 정부 관계자를 인용해 “이번 계획은 중국의 해경선이 상시적으로 센카쿠(중국명 댜오위다오) 열도 주변에서 항행하고 있고 중국군도 동중국해와 태평양 등에서 활발하게 활동하고 있는 상황에서 일본이 경계 감시 활동을 강화하기 위해서”라고 설명했다. 일본 정부는 2022년 기종을 선택한 뒤 2023년부터 무인 헬기를 배치할 계획인 것으로 전해졌다.
무인 헬기는 야간이나 악천후에도 비행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일본 정부는 무인 헬기를 기뢰 대처 능력이 있는 신형 호위함에 탑재하는 것을 검토하고 있다. 일본이 도입할 무인 헬기 기종은 아직 확정되지 않았지만, 미국 노스럽 그루먼의 ‘MQ-8C 파이어 스카우트’가 유력시되고 있다. 길이 12.6m·폭 2.7m 크기의 파이어 스카우트는 현재 미 해군이 운용 중인 차세대 무인 헬리콥터로, 뛰어난 해상 감시 및 추적 능력을 제공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일본은 중국 해경선의 센카쿠 열도 주변 도발 등을 이유로 해상자위대의 전력 강화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이즈모급 호위함인 ‘가가’와 ‘이즈모’ 2척을 사실상 항공모함으로 개조해 F-35B 등 최신예 스텔스 전투기를 탑재하는 계획도 그 일환이다. 지난해부터 남중국해 및 인도양에서 중국을 견제하기 위해 실시하는 연안국과의 공동훈련에도 이즈모함을 파견한 바 있다. 아베 총리는 지난 5월 일본을 방문한 도널드 트럼프 미 대통령과 ‘가가’에 함께 승선해 안보 동맹을 과시하기도 했다.
장지영 기자 jyjang@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