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의 수출규제에 부산기업들 비상 대책마련 나서

입력 2019-07-28 10:02
우리나라에 대한 일본의 화이트리스트(안보우호국) 제외 추진에 따른 수출규제 확대를 우려한 지역 기업들이 비상 대책 마련에 본격 나섰다.

부산시와 부산상공회의소는 지역 제조업체가 일본의 수출규제 확대에 대비해 재고 확보, 대체재 마련, 우회 수입 경로 확보, 전략물자 해당 여부 확인 등 비상 대책 마련에 나서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고 28일 밝혔다.

부산상의가 부산지역 대표적 제조업체 300여 개사에 대한 조사 결과 일본과의 기술제휴로 접착제를 생산하고 있는 A사는 원재료 일본 의존도가 높아 6개월 분 이상의 재고를 확보할 계획을 추진 중이고, 원료첨가제를 일본에서 수입하고 있는 B사 역시 재고 확보에 노력하고 있다.

부산상의와 시에 따르면 산업용 고무를 생산하는 C사는 제품 개발단계에서부터 고객사가 일본 고무 사용을 요구해 쓰고 있지만, 수입이 안 되면 고객사와 협의해 대체재를 사용할 수밖에 없어 대책을 마련 중이다.

자동차용 고무부품을 생산하는 D사는 일본으로부터 수입하는 원재료를 전량 국내에서 수요를 대체할 수 없는 상황이라 수출 규제가 확대되면 중국을 통해 우회 수입하는 것을 적극 검토 중에 있다.

다수의 전략물자를 사용해 자동차부품을 생산하고 있는 E사는 일본의 수출규제에 대비해 대응팀을 꾸렸고, 조선기자재를 제조하는 F사 역시 분석기 등 2가지 품목을 수입하고 있어 대응책을 마련해 놓은 상태다.

지역 기업들이 이처럼 대책 마련에 나서고 있지만 사태가 장기화되면 관련 기업들의 피해는 불가피해 보인다.

화학용품을 생산하는 한 회사는 일본의 수출규제로 국내 대기업이 영향을 받으면서 이 기업과 거래하는 고객사의 물량 감소로 최근 공급물량이 줄고 있다.

원료첨가제를 수입하고 있는 다른 회사와 기계부품을 제조하는 또 다른 회사 역시 재고확보에 노력하고 있지만 사태가 장기화되면 피해가 발생할 수밖에 없다며 긴장하고 있다.

허용도 부산상의 회장은 “일본의 수출규제 확대에 대비해 피해신고 접수센터를 부산시와 함께 운영하고, 지역 기업의 피해 상황과 동향을 실시간으로 모니터링 할 수 있는 기업 네트워크를 구축하는 등 지역 기업들의 피해를 줄일 수 있는 대책을 마련하고 있다”고 말했다.

부산=윤봉학 기자 bhyoo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