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명희 산업통상자원부 통상교섭본부장이 미국의 경제통상 인사들과 만나 일본 수출규제 조치의 부당성을 알렸다. 유 본부장과 면담한 윌버 로스 미 상무장관은 “미국으로서도 필요한 역할을 하겠다”고 답했다.
유 본부장은 23∼25일(현지시간) 로스 상무장관 등 정부 인사와 엘리엇 엥걸 하원 외교위원장, 마이클 맥콜 하원 외교위원회 간사 등 의회 인사, 20여명의 경제통상 관련 단체와 전문가를 광범위하게 접촉했다고 26일 산업부가 밝혔다. 한일 정부에 서한을 보낸 미국반도체산업협회(SIA), 전미제조업협회(NAM) 등 업계와 헤리티지재단, 전략문제연구소(CSIS) 등 싱크탱크, 아시아 소사이어티 주관 전문가 간담회를 계기로 만난 통상 및 외교정책 전문가들이 포함됐다.
유 본부장은 미국 인사들에게 일본의 조치는 기술적 우위를 정치적 문제 해결을 위한 도구로 활용해 글로벌 국제무역질서를 무너뜨리는 위험한 선례이고 미국 수요·공급 기업 등 관련 산업과 글로벌 공급망 전반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실제로 이번 조치 발표 이후 반도체 D램 가격이 20% 이상 올라가는 등 이미 영향이 나타나고 있다.
로스 장관은 이번 조치가 미국 산업 및 글로벌 공급망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설명에 공감하면서 “할 수 있는 역할을 해나가겠다”고 답했다. 회동 후 유 본부장은 특파원들과 만나 “로스 장관도 이번 일본의 조치가 미국 산업에 미치는 부정적 영향, 그다음에 글로벌 공급망에 미치는 부정적 영향에 대해서 충분히 인식하고 공감했다”며 “미국으로서도 필요한 역할을 하겠다는 언급을 했다”고 전했다.
미국이 어떤 역할을 할지에 대해서는 “아직은 우리가 (일본의) 3개 조치에 대해, 화이트 리스트에 대해 일본에 의견서를 제출하고 이야기를 하고 있기 때문에 그다음 단계에 대해서는 조금 더 나중에, 다른 기회에 말하는 게 나을 것 같다”고 말했다.
유 본부장은 “국내적으로는 한국 기업의 피해가 최소화될 수 있도록 필요한 조치를 마련하는 동시에 대외적으로는 일본 측과 대화 노력을 이어나가면서 다음 달 2일 열리는 역내포괄적경제동반자협정(RCEP) 장관회의를 포함한 다자·양자협의에서 일본 측 조치의 부당성에 대한 국제사회의 공감대를 끌어내기 위해 노력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강주화 기자 rula@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