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J 정신’ 계승을 자임해온 민주평화당의 당내 갈등이 끝을 향해 치닫고 있다. 김대중 전 대통령 서거 10주기 행사마저 반(反)당권파의 불참으로 완전체로 치르지 못하게 됐다. 제3지대 신당 창당을 둘러싸고 당이 두쪽으로 쪼개진 모양새다.
민주평화당은 24일 김 전 대통령 10주기 기념행사로 목포에서 당원 연수를 개최한다. 또 25일에는 전남 하의도에 있는 김 전 대통령 생가에서 최고위원회의와 추도식을 진행한다. 특히 추도식에서는 평화와 화합을 강조해온 ‘DJ 정신’을 담아 ‘하의도 선언’을 발표할 예정이다. 평화당이 올초부터 이번 행사를 집중적으로 준비해왔다.
애초 행사에는 정동영 대표와 박주현 최고위원 등 당권파와 함께 유성엽 원내대표와 최경환 최고위원 등 반당권파도 참여할 예정이었다. 그러나 반당권파인 ‘대안정치’는 이날 장정숙 대변인의 논평을 통해 “목포와 하의도에서 진행되는 김대중 대통령 서거 10주기 행사에 참석하지 않는다”며 “다른 날을 택해 하의도 김대중 대통령 생가를 방문한다”고 밝혔다. 지난해 열린 김 전 대통령 서거 9주기 추도식에서 정 대표를 비롯해 박지원 의원, 천정배 의원, 최경환 의원 등이 추도식장을 찾은 것과는 대조적인 모습이다. 대안정치의 수장인 박지원 의원은 지난달 고(故) 이희호 여사 장례식 때 상주를 자처하며 ‘DJ 정신’을 강조했었다.
대안정치는 정 대표의 징계 발언을 문제 삼았다. 대안정치는 “정동영 대표가 대안정치의 입장을 당내 공천권 투쟁으로 왜곡하고 해당행위, 징계 운운하고 있는데 우리는 이런 인식에 동의하기 어렵다”며 반발했다. 정 대표는 앞서 22일 최고위원회의에서 “탈당 그룹의 행동은 온당치 않다”며 “당원 뜻을 무시하고 일방적으로 소위 ‘대안정치연대’라는 탈당그룹을 결성한 것은 해당 행위”라고 밝힌 바 있다. 정 대표는 또 반당권파 최고위원의 불출석을 ‘징계 사유’로 규정해 엄중 경고하기도 했다.
정 대표는 이날 국회에서 열린 최고위원회의에서 “내일 하의도에서 김 전 대통령 10주기를 맞아 하의도 선언을 하는데 많은 의원들과 지도부가 함께 가기를 바란다”며 반당권파의 행사 참여를 촉구했다. 정 대표는 “국민과 당원들 걱정 앞에 송구스럽다. 협력과 통합으로 가기 위해 서로 냉정하게 자제해야 한다”며 “김 전 대통령의 정신을 따른다는 정당으로서 김 전 대통령의 실사구시 정신으로 통합을 향해 나아가길 기대한다”고 말했다.
박재현 기자 jhyu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