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명만 2군행…생색내기 승강제?’ 주관적 인적평가 여전히 높다

입력 2019-07-24 10:59

KBO는 심판 승강제를 도입하기로 했다.

KBO는 매년 시즌 종료 후 실시되는 고과평가를 통해 매년 최하위 1명을 퓨처스리그로 강등시키기로 하고, 2년 연속 최하위 5명(현행 2년 연속 최하위 3명 포함 시 퓨처스리그 강등)에 포함될 경우에도 퓨처스리그로 강등시키기로 했다.

평가는 경기운영위원 등의 인적 평가 60%, 스트라이크존의 일관성, 판정 번복 등을 기준으로 한 데이터 평가 40%였던 비율을 각각 40:60으로 변경, 데이터 평가에 보다 높은 배점을 주기로 했다. 강화된 심판 승강제는 내년부터 적용되며, 퓨처스리그 강등에 따른 연봉 감액도 추가적으로 실시하기로 했다.

또 KBO 심판으로서 리그의 품위를 손상시키는 행위를 하거나 빈번한 오심으로 제재를 받은 경우에도 퓨처스리그 강등 및 감액 대상이 된다.

또한 비디오판독센터에 배정된 심판이 오독을 할 경우에 고과평가 감점을 강화하고, 매년 고과평가 결과에 따라 상위 20위에 포함되지 못하는 심판의 경우 해당 연도 포스트시즌 경기에 배정에서 제외하기로 했다.

심판 조직은 내년부터 현행 5개팀에서 6개팀으로 확대해 심판 별 판정 능력 차이 등의 문제점을 최소화하여 심판 자질을 상향 평준화 할 방침이다.

기존 3심제로 운영되던 퓨처스리그도 전 경기 4심제로 바뀐다. KBO 리그 심판 6개팀 확대와 퓨처스리그 심판 4심제로 심판 포메이션에 대한 기술적 숙련도와 적응력 향상으로 KBO 리그에 즉각 투입될 수 있는 심판 양성의 효과가 기대된다.

또 보다 체계적이고 효율적인 교육을 위해 퓨처스리그 심판육성위원도 2명에서 3명으로 늘려 심판 육성에 힘쓰기로 했다.

심판에 대한 KBO의 교육과 지원도 강화된다. 연 2회 이상 실시하는 심판 교육에서는 MLB 심판수퍼바이저 등 해외 심판 전문가를 초빙해 교육을 체계화 할 계획이다.

더불어 시즌 개막 전 야구규칙과 리그규정의 정확한 숙지를 위해 심판들을 대상으로 테스트를 실시하고, 테스트 결과는 고과평가에 반영된다. 또 KBO는 심판들의 기술 향상을 위한 국제심판회의나 MLB 심판 미팅 참가, 심판학교 파견 등에도 적극 지원하고, 심리 상담 등을 통한 치료와 멘탈 강화에도 도움을 줄 예정이다.

그러나 어찌보면 생색내기용에 불과하다. 1년에 단 1명만을 퓨처스 리그에 내려보내겠다는 것은 하나마나하다. 들끓는 비판 여론을 잠재우기는 어렵다. 시즌 도중이라도 오심이 반복되는 심판에 대해선 2군행을 과감히 시행해야 한다. 그리고 심판 조장에 대한 책임도 엄하게 같이 물어야 한다.

평가에서 데이터 평가를 높였지만, 여전히 인적 평가 비율이 높다. 비중을 더 낮춰야 한다. 그렇지 않다면 나이가 어리거나 경력이 짧은 심판이 피해를 볼 수 있다.

특히 비디오 판독 오심에 대한 징계 수위늘 높일 필요도 있다.



김영석 기자 yskim@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