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 경제인 단체인 ‘경제동우회(經濟同友會)’가 한국의 일본 상품 불매운동을 향해 “바람직하지 않고 오래 지속되지 않을 것”이라고 전망했다. 1946년 설립된 경제동우회는 일본경제단체연합회, 일본상공회의소와 함께 일본의 3대 경영자 단체로 꼽힌다.
22일 경제동우회 홈페이지에 올라온 정례 기자회견 요약본에 따르면 사쿠라다 켄고 대표 간사는 한일관계가 일본 경제에 미칠 영향을 묻는 말에 “정치적 이유에 의한 동력으로 (불매가) 오랫동안 지속할 것으로 생각하지 않는다”며 “정치적 편견 때문에 (불매) 운동이 이뤄졌다면 바람직하지 않다”고 말했다.
사쿠라다 간사는 불매운동 열기가 사그라든 뒤 한국 소비자들이 결국 일본 제품을 찾을 것이라고 예상했다. 그는 “정치적 대립으로 양국에 도움이 되는 것은 없다”며 “머지않아 양국의 소비자 모두 궁극적으로 품질이 좋고 가격이 합리적인 것을 선택하는 ‘정상적인 상태’로 돌아갈 것 같다”고 분석했다.
불매운동이 한국 사람들의 일본 여행에 미칠 영향에 대해서는 “한국 음식을 좋아하는 일본인이 많은 것처럼 (한국인들도) 좋은 것은 좋다고 생각할 것”이라고 답했다.
사쿠라다 간사는 한일갈등과 관련해 한국 정부에 문제의 원인이 있다는 일본 정부의 주장에 동의했다. 그는 “문제가 복잡해지는 원인은 (한국 정부가) 일본의 메시지를 받아주지 않는 데 있다”고 말했다.
이어 “(일본의 수출 규제는) 포괄 수출 허가에서 개별 수출 허가로 바꾼 것으로 세계무역기구(WTO) 규정 범위 안에 포함되는 행위”라고 옹호했다.
다만 “(동우회) 본회의에서도 경제계 간의 대화 교류는 계속하자는 논의가 나오고 있다”며 대화를 통한 해결을 언급했다.
박준규 인턴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