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자동차와 현대중공업 노동조합이 파업 수순을 밟자 벌써부터 지역 소상공인들의 속이 타들어가고 있다. 노조의 파업여파로 지역 상권이 크게 위축되기 때문이다.
22일 현대차 등에 따르면 전국민주노동조합총연맹(민노총) 금속노조 현대차지부는 지난 19일 오전 울산 북구 울산공장 본관에서 열린 16차 단체교섭에서 회의 시작 30분 만에 협상 결렬을 선언했다.
현대차 노조 23~24일 열리는 137차 임시대의원대회에서 중앙노동위원회에 쟁의조정을 신청한 뒤 29~30일 이틀간 파업 찬반투표를 가진다. 노조는 여름휴가 후 강력한 투쟁으로 추석 전 타결을 이뤄내겠다는 방침이다.
현대중공업 노조는 지난 17일 실시한 파업 찬반투표를 통해 이미 파업을 위한 절차를 마쳐놓고 있다.
현대차가 30일 파업찬반투표를 가결하게 되면 동시파업은 현실화될 것으로 전망된다.
울산 경제를 짊어진 두 거대 사업장인 현대차와 현대중공업 노조의 동시 파업 가능성이 커지면서 지역 사회에선 우려의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고용규모로 현대차가 3만여명, 현대중공업이 1만5000여명이다. 협력업체까지 합치면 10만여명에 이른다. 직접적으로 1, 2차 협력업체를 비롯해 음식점을 운영하는 소상공인들까지 막대한 손실을 입게 된다.
현대차가 위치한 북구지역 식당가도 매출의 상당부분을 차지하는 양대 노조가 파업할 경우 영업에 큰 타격을 받을 것을 우려하고 있다. 한 식당 업주는 “노조 파업 기간에는 평소보다 매출이 40% 줄어든다”며 “북구 명촌동 일대 식당 업주들은 한숨만 쉬고 있다”고 설명했다.
동구의 한 외식업계 관계자는 “우리 지역에 있는 현대중공업 노조가 파업하면 근로자의 회식이나 외식 줄고, 소비심리도 위축돼 장사가 더 힘들어질 것이라고”고 말했다.
시민 김모(34·여)씨는 “지역 경기가 어려운 마당에 현대중공업과 현대자동차 노조의 파업으로 분위기가 더욱 침체하지 않을까 걱정된다”고 안타까워했다.
지역 상공계는 노사 양측에 상생을 위한 대화를 촉구했다.
울산지역 상공계 관계자는 “노사의 대립은 기업 미래와 지역경제의 불확실성만 가중한다”며 “노사는 경쟁력 향상과 자구노력에 힘을 모아 상생하는 모습을 보여달라”고 말했다.
울산=조원일 기자 wcho@kmib.co.kr
현대차· 중공업 노조 파업수순에 지역 소상공인들 벌써부터 앞이 깜깜
입력 2019-07-22 16: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