질병관리본부가 22일 전국에 일본뇌염 경보를 발령했다. 만 12세 이하 아동은 예방접종기일에 맞춰 접종을 완료하고 면역력이 없는 성인에 대해서도 질본은 예방접종을 권장했다.
주 2회 채집된 모기의 1일 평균 개체수 중 일본뇌염 매개모기인 작은빨간집모기가 500마리 이상이면서 전체 모기밀도의 50% 이상일 때 일본뇌염 경보가 발령된다. 질본의 감시 결과 경남지역에서 작은빨간집모기가 하루 평균 1037마리 채집돼 전체 모기의 71.2%를 차지했다.
작은빨간집모기는 논이나 동물축사, 웅덩이 등에 서식하는 암갈색의 소형 모기로 주로 야간에 활동한다. 일본뇌염 바이러스를 가진 모기에 물리면 일본뇌염 환자 250명 중 1명꼴로 치명적인 급성뇌염으로 진행될 수 있고 이 중 20~30%는 사망한다. 국내에선 최근 10년간 연평균 20건 내외로 일본뇌염 환자가 발생했고 신고된 환자의 90%가 40세 이상이다. 올들어 첫 환자는 아직 발생하지 않았다.
일본뇌염 경보가 발령되면 주변에서 일본뇌염 바이러스에 노출될 가능성이 커 모기에 물리지 않도록 각별히 주의하고 적기에 예방접종을 시행해야 한다. 국가예방접종 사업 대상인 생후 12개월에서 만 12세 이하 어린이는 전국 보건소 및 지정 의료기관에서 주소지에 관계없이 무료로 예방접종이 가능하다.
일본뇌염 바이러스에 대한 면역력이 없고 모기 노출에 따른 감염 위험이 큰 지역에 가는 성인에게도 계절에 상관없이 예방접종이 권장된다. 1회 예방접종으로도 96% 이상의 감염 예방효과를 볼 수 있다고 질본은 전했다.
질본은 “야외 활동 시 밝은 색의 긴 바지와 긴 소매 옷을 입어 피부노출을 최소화하고 노출된 피부나 옷, 신발 상단, 양말 등에 모기기피제를 사용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이어 “가정 내에서도 방충망 또는 모기장을 사용하고 집주변의 웅덩이나 막힌 배수로 등에 고인 물을 없애 모기가 서식하지 못하게 해야 한다”고 당부했다.
김영선 기자 ys8584@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