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쟁 가능 국가’로의 개헌에 반대하던 일본 여론이 변화하고 있다는 여론 조사 결과가 발표됐다.
아사히신문이 21일 열린 참의원 선거 출구조사에 따르면 평화헌법 개정에 찬성하는 일본 국민과 반대하는 국민이 각각 50%를 근소하게 밑돌며 팽팽히 맞서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일본의 2차 대전 패전으로 만들어진 평화헌법은 일본의 교전권과 전력 보유를 금지한다. 그간 일본 여론은 주로 평화헌법 유지에 찬성하는 입장을 보여왔다. 요미우리신문의 지난 15일 국민 여론조사에서도 헌법에 자위대를 명기하는 개헌안에 반대한다는 응답은 41%로 찬성측 34%보다 높았다.
아베 신조 총리는 이번 참의원 선거에서 평화헌법에 자위대의 존재를 명기하는 내용을 골자로 하는 개헌안 추진을 주요 공약으로 내걸었다. 전후 체제를 극복하고 일본을 전쟁 가능국으로 만들고자 하는 아베 총리와 자민당에게 개헌은 오랜 정치적 숙원이었다. 평화헌법 개정 찬성 여론이 반대 여론에 비등해지고 있다는 여론 조사 결과가 이날 나오면서 아베 정권의 개헌 드라이브가 일본 국민에 먹혀들고 있는 것이 아니냐는 분석이 나온다. 아사히 조사에 따르면 특히 비례대표 선거에서 자민당에 투표한 사람의 경우 약 80%가 개헌에 찬성 입장을 보였다.
아베 총리는 참의원 선거 출구조사 발표 후 TV아사히 프로그램에 출연해 “(개헌을) 제대로 논의해 나가라는 국민의 목소리를 들었다. 국회에서 논의가 진전되길 기대한다”고 말했다. 자민당에서는 아베 총리의 4연임론도 흘러나오고 있다. 니카이 도시히로 자민당 간사장은 인터뷰에서 “앞으로 당내에서 여러 논의가 나올 것이다. (아베 총리가) 그만큼의 활약을 해주고 있다”고 말했다.
이형민 기자 gilels@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