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원순 서울시장이 “경기도처럼 조건 없이 청년기본소득을 보장하는 방안을 고민하고 있다”고 말했다. 박 시장은 지난 20일 서울시청에서 열린 ‘2019 지방정부 청년정책 협력포럼’에서 “청년들이 경제적으로 힘든데 (경기도의) 청년기본소득처럼 (소득을) 보장해주는 문제를 고민중”이라고 밝혔다.
청년기본소득은 청년에게 재산 소득 취업 여부와 상관없이 일정소득을 보장해주는 정책으로, 2016년 성남시를 시작으로 올해 경기도 전역으로 확대됐다. 서울시도 2016년 유사한 청년수당 제도를 도입했지만, 구직활동을 하는 조건으로 지급한다.
서울시는 기존 청년수당을 확대해 특별한 조건 없이 일부 청년에게 매월 수당을 지급하는 방안을 검토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박 시장은 서울 청년에게 농촌 일자리를 연계하는 방안도 검토 중이라고 했다. 그는 “서울이 함께 책임져야 한다는 생각에 농촌과 지역에 대한 고민이 많아졌다”며 “서울시 중앙정부 해당지자체가 일정하게 급여를 대고 서울 청년이 농촌에서 일을 찾아낼 수 있는 사업도 구상하고 있다”고 했다.
이어 “청년 정책은 한 지방 정부가 아니라 모두가 힘을 합쳐서 함께해야 진정한 효과가 나타날 수 있다”며 “청년들도 직접 나서 다양한 정책을 요구하고 만들어야 한다”고 했다. 행사는 지자체 간 청년정책 협력을 위해 박 시장이 협의회 회장직을 맡고 있는 대한민국시도지사협의회가 주최했다.
오주환 기자 johnny@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