황교안 자유한국당 대표가 18일 문재인 대통령을 만나 일본의 수출규제 조치에 대한 정부의 대응 방식을 두고 “별다른 대책 없이 말로만 국민감정에 호소하고 있다”고 쓴소리를 던졌다.
문 대통령은 이날 청와대에서 여야 5당 대표와 회동해 일본의 경제보복 대책 등을 논의했다. 문 대통령과 5당 대표 회동이 성사된 것은 지난해 3월 이후 1년 4개월 만이다. 문 대통령이 국정 현안을 논의하기 위해 황 대표와 얼굴을 맞댄 것은 처음이다.
황 대표는 먼저 “일본이 양국 관계를 파탄으로 끌고 갈 수 있는 경제보복 조치를 하는 것은 대단히 잘못된 것이며 준엄하게 성토한다”며 “지금이라도 일본 정부가 잘못된 조치를 철회해야 한다”고 말했다.
그는 “말과 감정만으로는 문제를 해결할 수 없다. 결국 양국 정상 간에 해결해야 한다”며 “조속히 한·일 정상회담을 추진해서 양국 정상이 마주앉으셔야 한다”고 문 대통령에게 제안했다. 이어 “장관이나 공무원들만으로는 (해결이) 어려울 것”이라며 “결국 톱다운 방식으로 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황 대표는 지난 15일 국회에서 기자회견을 열어 밝힌 대로 일본과 미국에 조속히 고위급 특사를 파견해 줄 것과 한·일 관계 악화를 방치한 강경화 외교부 장관을 비롯한 외교라인에 대한 엄중 문책을 요청했다.
황 대표는 특히 우리 경제의 펀더멘털 약화를 막기 위해서는 현 정부 경제정책의 대전환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소득주도성장 정책을 버리고, 동시에 규제개혁, 노동개혁을 서둘러야 한다는 것이다.
그는 또 “지금은 대통령께서 야당과 다툴 때가 아니다”며 “우리 당은 위기 극복을 위해 초당적으로 협력할 생각을 갖고 있지만 정부·여당은 적폐청산을 한다면서 ‘내로남불’을 끊이지 않고 있다”고 지적했다.
지호일 기자 blue51@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