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내대표 임기 막판 선거법 개정안을 패스트트랙(신속처리안건)에 올린 홍영표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18일 국회 정치개혁특별위원장으로 다시 돌아왔다. 홍 의원은 “오늘 오후라도 여야 간사들을 만나겠다”고 했다. 일을 저지른 사람이 일을 해결해야한다는 ‘결자해지론’을 앞세워 홍 의원을 설득한 것으로 전해진 이인영 원내대표는 “실권을 가지고 협상에 임할 수 있는 최적임자라 생각한다”며 내정 배경을 설명했다.
한 달여의 장고(長考) 끝에 민주당은 이날 정책조정회의에서 사법개혁특별위원회 대신 정개특위를 맡고, 위원장으로 홍 의원을 내정했다고 밝혔다. 일찍이 원내지도부가 정개특위로 의견을 모은 것으로 전해졌지만 이를 공식화하는 데는 신중한 입장이었다.
앞서 지난달 민주당은 자유한국당과 협상 과정에서 국회 정상화 조건으로 정개·사개특위원장을 각각 하나씩 맡기로 합의했다. 당시 정개특위
원장이던 심상정 정의당 의원은 “일방적 해고”라며 반발해 여야 4당의 공조가 흔들리는 것 아니냐는 관측도 나왔다. 사개특위를 맡아 검경 수사권 조정, 고위공직자범죄수사처로 대표되는 정부의 검찰 개혁에 힘을 실어줄지, 정개특위를 맡아 패스트트랙 공조를 유지해 정국 주도권을 잡을지 민주당의 선택에 이목이 쏠렸다. 당 안팎에서는 결국 정개특위를 맡을 거란 전망이 나왔다.
이날 원내 지도부가 정개특위로 공식 입장을 밝힌 뒤 홍 의원은 기자간담회를 갖고 향후 특위 운영 방향에 대해 밝혔다. 홍 의원은 “패스트트랙을 두고 여야 간에 굉장히 큰 진통을 겪었기 때문에 다른 분이 위원장을 맡아 좋은 결과를 냈으면 좋겠다는 게 개인적인 바람이었다”며 “그간의 여러 논의과정을 잘 알고 있기 때문에 합의를 도출하는데 역할을 할 수 있지 않겠냐는 당 안팎의 말씀이 있었다”며 위원장을 수락한 이유를 말했다.
이어 홍 의원은 “선거법이야말로 여야 간 합의로 처리를 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고 생각한다”며 “다음 주부터라도 정개특위를 빨리 가동시켜서 본격적인 논의를 시작했으면 한다”고 했다.
홍 의원은 “자유한국당이 선거법 개정에 의지를 갖고 협상에 임해줬으면 좋겠다. 선거법에 대해 좀 더 열린 자세로 각 당이 진솔한 입장과 의지를 갖고 참여해달라”고 당부했다. 특위 시한은 8월 31일까지로, 두 달도 채 남지 않은 상황이다.
홍 의원은 패스트트랙안을 고집하지 않겠다는 뜻도 밝혔다. 홍 의원은 “국회법 절차에 따라 제출된 안이기 때문에 그 안이 중심이 되어야 한다”면서도 “얼마든지 합리적 대안이 있고 현실적 합의 방안이 있다면 고집할 생각은 없다”고 말했다.
이가현 기자 hyu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