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원도 내 접경지역이 국방개혁 2.0에 의해 이전하는 군부대를 막기 위해 안간힘을 쓰고 있다. 군부대 이전에 따라 인구감소와 상권 붕괴 등이 우려되기 때문이다.
양구군과 양구군의회, 보훈단체 등은 18일 오후 양구문예회관에서 ‘2사단 해체 반대 범군민 추진위원회(이하 추진위)’ 창립총회와 발대식을 가졌다. 추진위는 앞으로 서명운동과 국방부 장관, 국회 국방위원장 면담, 궐기대회 등 부대 이전을 막기 위한 활동을 전개할 예정이다. 추진위는 이날 성명서를 통해 “2사단이 해체되면 장병과 간부, 가족 등 7000여명의 인구가 감소하고, 이는 지역상권 붕괴로 이어져 군민 전체의 생존권이 위협받을 수 있다”며 “국방부는 피해 최소화를 위해 지역에서 준비할 수 있도록 최소 2~3년 순연해 시행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앞서 양구군은 지난 12일 국방부 장관과 대통령 비서실장, 국회 국방위원장, 청와대에 사단 해체를 막아달라는 건의문을 보냈다. 군은 건의문에서 “국방개혁은 필요하지만 군부대 의존도가 높은 양구군은 국방개혁으로 인해 인구 급감과 지역경제의 큰 타격으로 생존권이 위협받고 있는 실정”이라며 “국방개혁 2.0과 관련해 최소 2∼3년가량 순연 추진 또는 수정, 정부 차원의 지역 상생방안 마련 시행이 이뤄져야 한다”고 촉구했다.
강원도와 도내 접경지역에 따르면 국방개혁 2.0에 따라 원주 1군사령부가 지난해 경기 용인시로 이전했다. 현재 철원, 화천, 양구, 인제, 삼척, 양양에서 부대 이전과 해체, 통합 작업이 진행 중이다. 철원 6사단과 양구 2사단은 경기도로 이동하고 화천 27사단과 삼척 23사단은 해체될 것으로 예상된다. 양양 8군단은 인제 3군단에 흡수되고, 인제 2사단의 2개 연대는 다른 지역으로 이전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접경지역이 우려하는 것은 인구급감과 지역경제 타격이다. 강원연구원에 따르면 이들 부대가 해체‧이전하면 접경지역에서 최대 6만명에 가까운 인구가 감소할 것으로 예상했다. 실제로 국방개혁이 진행 중인 철원군은 2018년 말 기준 4만7141명이던 인구가 5월 말 현재 4만5741명으로 5개월 만에 1400명 감소했다. 인구감소는 육군 6·8사단 예하 부대 등 군부대 이전이 본격화되면서 장교와 부사관 등 군인 가족들의 외지 전출이 늘어났기 때문이다.
강원도는 국방개혁 2.0 적용으로 접경지역 상권 붕괴 등이 예상됨에 따라 19일 접경지역 활성화 대책 긴급 간담회를 갖는다. 도는 군부대 유휴지의 활용방안, 접경지역 주민들의 생존권 보장을 위한 특화지구 지정 등 다양한 대책을 논의할 방침이다.
양구=서승진 기자 sjseo@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