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재무부가 지정한 대북제재 위반 주의 선박의 절반이 1년 넘게 행방을 확인할 수 없는 상태인 것으로 나타났다고 미국의소리(VOA) 방송이 18일 보도했다.
VOA는 선박 추적시스템인 ‘마린트래픽’을 통해 확인한 결과 미 재무부가 지난 3월 발표한 ‘대북제재에 관한 권고사항’의 제재위반 의심 명단에 오른 선박 34척 중 17척이 1년 이상 선박자동식별장치(AIS)를 켜지 않고 있다고 전했다. AIS는 선박의 위치와 출항 경로 등 운항 상황을 자동으로 추적하는 장치로, 모든 선박들은 필수적으로 켜고 운항해야 한다.
미 재무부는 이와 관련 “(AIS를 끈 선박은) 조사를 고려해야 한다”며 이런 행동을 ‘경고 신호’로 간주한다고 밝혔다고 VOA는 말했다. 미 의회도 AIS를 끄는 선박의 행위를 대북 제재와 관련해 주시하고 있다.
지난 5월 미국 정부가 압류한 북한 선박 와이즈 어니스트호도 AIS를 끄고 운행했다고 한다. 현재 AIS 신호가 두절된 선박 중 불법 환적에 가담한 선박이 8척, 북한산 석탄 수출에 직접 연루된 선박이 9척이다. 시에라리온 선박 진혜호는 지난해 4월 대만 서쪽 앞바다에서 마지막 신호가 잡힌 뒤 1년 3개월이 지나도록 AIS를 켜지 않았고, 팔라우 선박 킹스웨이호는 지난해 1월 대만 남쪽 바다에서 신호가 잡힌 뒤 행방이 묘연하다.
시에라리온 선박 펭션호는 지난해 4월, 코모로 선박 페트렐 8호는 2017년 10월이 각각 마지막 신호였다. 이밖에 토고 선박 서블릭호와 아시아 브릿지호, 러시아 선박 탄탈호, 벨리즈 선박 탤런트 에이스호 등이 모습을 감췄다. 또 여전히 북한과 중국을 오가는 선박의 움직임도 포착됐다고 VOA는 주장했다.
코모로 선박 플라우리싱호는 지난 18일 중국 닝보항 앞에서 AIS 신호가 포착됐는데, 그 8일 후 북한 청진항 앞에서 다시 신호가 확인됐다. 지난 7일에는 제주 애월읍 앞바다에서 중국 방향으로 신호가 잡혔다.
지호일 기자 blue51@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