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 커진 부동산의 존재감… 국부 증가율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최고

입력 2019-07-17 18:24

지난해 말 기준 우리나라 국부(國富)라 할 수 있는 국민순자산은 전년보다 1174조4000억원 늘어난 1경5511조7000억원을 기록했다. 전년 대비 국민순자산 증가율은 글로벌 금융위기가 닥친 2008년(8.3%) 이후 10년 만에 가장 높은 8.2%다.

국내총생산(GDP) 대비 국민순자산은 8.2배로 이 수치가 8배를 넘기기는 2000년대 들어 처음이다. 보유자산 가치가 상대적으로 크게 늘었음을 의미하지만 소득이 제대로 뒷받침해주지 못하는 측면을 함께 보여주는 만큼 긍정적으로만 해석할 수 없는 대목이다.

한국은행과 통계청은 17일 이런 내용의 2018년 국민대차대조표를 발표했다. 국민소득, 산업연관표, 자금순환표, 국제수지표와 함께 ‘5대 국민경제 통계’로 불리는 국민대차대조표는 비금융자산(실물자산)과 금융자산을 아울러 한 나라의 재무 상태를 종합적으로 보여준다. 공개된 수치는 모두 100억 단위에서 반올림돼 항목별 숫자를 더한 값이 총계로 제시된 숫자와 다를 수 있다.


지난해 말 기준 비금융자산은 전년보다 7.1%(993조원) 늘어난 1경5049조9000억원을 기록했다. 금융자산에서 금융부채를 뺀 순금융자산은 461조8000억원으로 전년보다 181조4000억원 늘었다.

이번 국민대차대조표에서 눈에 띄는 건 한층 커진 부동산의 존재감이다. 비생산자산의 거의 전부를 차지하는 토지자산이 2017년 7638조9000억원에서 지난해 8222조6000억원으로 7.6%(583조6000억원) 증가했다. 비금융자산 내 토지 비중은 2013년 53.1%로 저점을 기록한 뒤 지가상승 등의 영향으로 지난해 54.6%까지 커졌다. 건물 비중도 21.4%로 2015년 이후 꾸준히 상승해왔다.

지난해 말 GDP 대비 토지자산 비율은 전년보다 18.2% 포인트 확대된 434.3%를 기록하며 상승세를 이어갔다. 이 비율은 글로벌 금융위기 전인 2007년 437.6%에서 2015년 407.1%까지 떨어졌다가 꾸준히 커지고 있다. 지난해 확대폭은 3~5% 포인트대였던 예년과 비교하면 상당한 수준이다. 한은은 지난해 명목 GDP가 3.1% 늘어난 반면 토지자산이 7.6% 증가한 데 기인한다고 설명했다. 토지유형별로는 건물부속토지와 문화오락용 토지가 상대적으로 높은 증가세를 보였다.

지난해 가계 및 비영리단체의 자산과 부채는 모두 증가폭이 전년보다 축소됐다. 자산 증가액은 2017년 696조2000억원에서 지난해 559조5000억원으로, 부채 증가액은 121조2000억원에서 103조5000억원으로 줄었다. 자산의 경우 주택자산 증가폭이 확대됐지만 주가하락 영향으로 금융자산 증가폭이 축소된 결과다. 가계 및 비영리단체의 순자산은 절반인 50.5%(4407조2000원)를 주택이 차지했다. 이어 주택 이외 부동산 25.7%(2240조8000억원), 순금융자산 22.2%(1940조9000원) 순이었다.

평균 가구원수를 2.46명으로 본 지난해 말 가구당 순자산은 4억1596만원으로 추정됐다. 2017년 말 3억9932만원보다 4.2%(1664만원) 늘었다. 한은은 가구당 순자산이 구매력평가환율로는 48만3000달러, 시장환율로는 37만8000달러로 주요국보다 낮은 수준이라고 설명했다.

강창욱 기자 kcw@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