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시는 일본의 수출규제에 따른 지역기업의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 비상대책단을 구성·운영한다고 17일 밝혔다.
이번 조치는 지난 11일 이승호 대구시 경제부시장 주재로 열린 ‘일본 수출규제 관련 대책회의’의 후속조치다.
회의는 일본의 불화수소, 레지스트, 플루오린 폴리이미드 수출제한 조치가 지역경제에 미칠 영향에 대해 전문가, 기업관계자와 함께 종합적으로 검토하고 대응방안을 모색하기 위해 마련됐다.
일본의 조치가 지역경제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대구기계부품연구원은 당장은 지역경제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지는 않겠지만 장기적으로 지역 기업을 보호할 필요성이 있다는 분석을 내어놓았다.
대구의 경우 제재 대상이 된 3개 소재를 수입하는 기업들이 많지 않고 절삭공구, 고무소재, 도금액 등 일본에서 수입하는 다른 소재 부품의 경우에도 국산화와 수입처 다변화가 이루어져 있어 당장은 영향이 적을 것으로 봤다.
하지만 일부 소재의 경우 일본산의 품질이 경쟁국에 비해 높아 대체하는 과정에서 일정부분 시간이 필요한 것으로 예상했다. 일본의 수출규제 사태가 장기화 될 경우 지역도 어려움을 겪을 수 있다는 의견도 나왔다. 2차 제재조치 대상으로 언급되는 탄소섬유분야와 모터·감속기 등 핵심부품을 일본에서 전량 수입하는 로봇분야의 대책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이에 대구시는 유관기관이 참여하는 비상대책단을 구성해 지역기업의 피해상황을 지속적으로 점검하고 지원방안을 마련할 방침이다. 대구테크노파크와 기계부품연구원, 다이텍 연구원 등을 통해 소재 대체에 따른 제조·공정혁신, 검·인증 등을 최우선적으로 지원하기로 했다.
또 이번 사태를 기계부품 및 소재산업의 경쟁력을 강화하는 계기로 삼기위해 공정혁신과 제조환경 스마트화 지원사업을 집중적으로 추진하고 신규 사업 발굴에도 적극 나서기로 했다. 스타기업을 중심으로 한 대구형 스켈일업(Scale-Up) 모델을 통해 소재부품·장비관련 기업을 집중 육성해 나간다는 계획도 세웠다.
이승호 대구시 경제부시장은 “지역기업에 대한 모니터링을 강화하고 실질적 도움이 될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해 하반기 지역 경기에 미치는 영향을 최소화할 것”이라며 “지역기업이 급변하는 외부 환경에 대처할 수 있는 자생력을 기를 수 있도록 돕겠다”고 말했다.
대구=최일영 기자 mc102@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