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전공대 설립 기본계획’이 범정부 지원위원회에서 의결됨에 따라 대학 설립에 한층 탄력을 받게 됐다.
‘한전공대 설립 기본계획’에는 정부 재정 지원 방안과 법적 지원 근거 마련, 연구소와 클러스터 부지 개발 및 운영 방안 등이 포함됐다.
16일 전남도에 따르면 한전공대 설립의 가장 큰 현안인 재정 지원과 관련해 오는 2022년 3월 개교까지 필수시설 건설 등 1단계 사업비용은 한전이 전액 부담키로 했다. 개교 후 2단계로 발생하는 추가시설 건립비용은 정부가 지원하게 된다.
한전이 부담하는 1단계 사업부분에는 ㈜부영주택이 무상으로 제공하는 한전공대 부지 40만㎡(나주 빛가람동 부영CC 부지 일부)가 포함된다. 이 부지는 조성원가 등을 감안해 560억여 원으로 평가되는 것으로 알려졌다. .
2단계 정부 재정 지원 방안은 국정과제로 추진하는 한전공대의 지원 규모를 지자체가 지원하는 수준으로 정했다. 이에 대한 법적 지원근거 마련을 위해 전기사업법 시행령 개정과 특별법 제정을 적극 추진한다. 또 연구소 및 클러스터는 정부와 지자체, 한전이 공동으로 개발하고 운영한다.
한전공대 설립에 대한 정부차원의 공식적이고 구체적인 방침 표명을 위해 7월 중 국무회의 보고가 추진될 예정이다. 또 한전공대의 개교를 위해 대학 설립 절차 이행 방안도 적극 마련하게 된다.
국가 대형 랜드마크 연구시설도 구축한다. 모든 과학 분야에 활용 가능한 ‘4세대 원형 방사광 가속기’를 한전공대와 연계해 국내 최초로 구축하도록 국가 정책에 반영하고, 타당성 조사 용역도 적극 검토키로 했다.
에너지신산업클러스터 조성과 관련해선 한전공대와 연계한 에너지산업융복합단지·강소연구개발특구·규제자유특구 지정 등을 적극 협력키로 했다.
앞으로 한전공대는 국무회의 보고, 대학 설립 기본계획 한전 이사회 의결, 대학설립기본계획 발표, 학교법인 설립, 도시계획변경, 대학 설립인가, 캠퍼스 준공 등의 절차를 거쳐 2022년 3월 개교할 예정이다.
김신남 전남도 일자리정책본부장은 “세계적 수준의 한전공대 설립을 통해 글로벌 우수인재를 양성하기 위해 지혜를 모아나가겠다”며 “나주혁신도시가 에너지 신산업 메카로 발돋움하는 발판을 마련하고, 산·학·연클러스터의 성과가 전남 시군 지역에 골고루 나눠지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한전공대는 대통령 공약 및 국정 운영 5개년 계획에 반영된 정책이다. 1000명(대학원 600명, 학부 400명) 규모로 추진되고 연구소 및 클러스터는 한전공대와 연계해 대한민국의 미래 먹거리인 에너지신산업을 육성해 글로벌 시장을 선점하기 위한 산·학·연 클러스터로 조성된다.
무안=김영균 기자 ykk222@kmib.co.kr
한전공대 설립 기본계획 의결로 설립 탄력
입력 2019-07-16 16:23